서울 소매업 10곳 중 9곳 '영세사업체'
소매업 10곳 중 4곳은 '1인 사업체'
서울 지역 소매업 10곳 중 9곳이 5인 미만의 영세사업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소매업의 특성분석과 자생력 강화방안'에 따르면 2010년 서울 지역 소매업 중 5인 미만 영세사업체 비중은 92.2%였다.
이는 서비스업의 83.5%보다 높은 비율이다. 특히 소매업의 42%는 1인 사업체로 구성돼 있었다.
서울 지역 소매업의 사업체당 매출액은 연간 6억3000만원으로 서비스업 평균 매출액의 36%에 불과했다. 특히 영세소매업의 연간 평균 매출액은 1억9000만원으로 소매업 평균의 30.6%에 그쳤다.
개인사업체 비중도 91.1%로 도매업 69.2%와 서비스업 82.0%보다 높았다.
소매업의 체인점 가입 사업체 수도 2005년 7522개에서 2010년 8158개로 연평균 1.6% 증가했으나 체인점 가입비율은 6.8%로 낮은 편이었다.
종합소매업의 체인화율 또한 19.8%로 높은 편이지만 체인화 편의점을 제외하면 대부분 2~3%대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매업의 창업률과 폐업률도 도매업보다 2배 이상 높았다. 2010년 서울 소매업의 창업률과 폐업률은 각각 15.3%와 15.5%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1만8349개의 소매업이 창업을 하고 1만8586개의 소매업이 폐업을 했다.
소매업의 사양화 지역은 상대적으로 서북권과 동북권에 많았다. 반면 동남권은 생존유지 및 진입지속지역으로 나타났다.
서남권은 영등포구와 동작구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진입지속 및 생존유지지역이었다. 도심권의 경우 중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생존유지지역이었다.
서울연구원은 "서울 지역 영세소매업의 자생력을 높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