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기업 피해액, 1조566억원에 달해

2013-06-27     이원환 기자

개성공단 기업들의 피해액이 1조56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뉴시스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통일부가 지난 5월2일~6월7일 개성공단 입주기업 123개사, 미착공업체 74곳, 공사중단 업체 13곳, 영업소 86개소 등 총 296개 업체를 대상으로 '개성공단 기업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실태신고서를 제출한 총 234개 업체(개성공단 입주기업 113개사·미착공 업체 49곳·공사중단 업체 7곳·영업소 65개소)가 신고한 피해액은 1조566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에는 해당 기업들의 현지 투자액과 미반입 재고자산, 원청업체 및 하청업체 납품채무, 개성현지 미수금 등이 포함됐다.

가동기업의 현지 투자액은 4805억원, 미반입 재고자산 1868억원, 원청업체 납품채무 2415억원, 하청업체 납품채무는 212억원, 개성현지 미수금은 412억원으로 나타났고, 영업소 및 기타 기업의 경우 현지 투자액은 632억원, 미반입 재고자산 69억원, 원청업체 및 하청업체 납품채무 등은 29억원, 개성현지 미수금은 124억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통일부는 이 중 내·외부 증빙자료를 통해 객관적으로 확인된 금액은 7067억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국내외 경제상황의 유동성 및 개별 기업이 속한 다양한 산업구조 등으로 객관적인 파악이 불가능한 미래의 영업손실 등은 조사대상에서 제외했다는 설명이다.

신고금액과 회계법인을 통해 확인된 금액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기업들이 증빙자료를 제출하지 못했거나, 제출할 증빙자료 근거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이 정부에 바라는 점으로는 ▲경협보험 확대 적용(80개사) ▲남북협력기금 등 특별 금융지원 확대(55개사) 등이 꼽혔다. 이 외 경영상 피해의 직접 보전(31개사), 납기 및 거래선 유예 등 재기지원(11개사) 등의 의견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