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靑회전문 인사 비판? 적절치 않다"

2013-06-04     이원환기자

새누리당 김기현 정책위의장은 4일 청와대 홍보수석에 이정현 정무수석이 임명되면서 '회전문' 인사 비판이 일고 있는 데 대해 "부적절하다"고 반박했다.

김 의장은 이날 tbs라디오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에 출연해 "청와대에서 비서진이 왔다갔다하는 것을 놓고 회전문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일축했다.

그는 이어 "대통령이 비서를 A라는 보직에 놓고 B라는 보직에 놓는 것은 내부의 일"이라며 "당청관계 뿐만 아니라 여야 관계에서 소통을 잘하고, 국민들에게 청와대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생각들을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을 빨리 찾아내는 것을 회전문 인사라고 비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경제민주화 법안의 입법을 비롯한 6월 국회 구상도 내놓았다.

그는 중점처리 법안으로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창조경제를 활성화하는 법안으로는 정보통신기술(ICT)특별법이 있다"며 "여러 분야로 나뉘어 있는 것을 통합해서 ICT를 새로운 미래전략산업으로 삼을 수 있는 특별법을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새누리당 이종훈 의원이 대표 발의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집단소송제 도입 방안에 대해서는 "법안 전체 내용에 동의할 수 있는 지는 상임위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 "법안의 내용에 대해서는 취사 선택을 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것이 있으면 도입을 하고, 필요하지 않거나 과도한 것, 적합하지 않은 것은 논의과정에서 빠지므로 과정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총수 일가에 대한 지원이나 정상적 과정을 거치지 않은 부당한 일감 몰아주기, 사업기회를 빼앗아 부당한 이익을 총수 일가가 취하는 것 등의 형태로 민간의 경제 활동 참여를 배제하는 특혜성 거래를 없애겠다는 입장이 확고하다"며 "111개 법안에도 일감 몰아주기를 막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을 중점 처리법안으로 올려놓고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노동계 최대 현안인 통상임금에 상여금을 포함할 지 여부에 대한 논란에 대해선 노사정 대타협을 강조했다.

그는 "재계에서는 경제적 충격이 38조원, 노동연구원은 22조원이라고 하는 만큼 큰 규모의 영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법률을 바꾸자, 말자로 할 차원이 아니다"며 "사회 각 계층, 이해 관계자 사이에 충분한 대화도 있어야 하고, 대타협의 정신을 갖고 고민하면서 방안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그는 북한인권법안 처리에 대해선 "북한인권법 개정을 18대 국회 때부터 계속 요구하고 있는데 민주당이 반대해서 처리가 안 되고 있다"며 "이번에는 민주당도 북한 눈치보기를 그만하고, 대한민국 안전지키기 그것에 관심을 많이 기울여주셔서 북한인권법 개정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