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 "국정원사건, 이명박 고발 법률적 검토"

2013-05-29     이원환기자

민주당 김현 의원은 29일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해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고발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필요성이 있다고 보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에는 국정원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던 취지로 독대보고를 없앴다"며 "그로나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가장 충실한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4년 가까이 옆에 두고 독대보고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저희가 확인한 실국장 또는 지부장 지시말씀을 보면 이 전 대통령의 가려운 곳이 어딘지 알고 긍정적인 입장을 내라는 지시내용이 있었다"며 "이 전 대통령과 관련성이 있는 부분이라고 본다. 이 전 대통령에 대한 고발 여부와 관련해 법률적 검토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정원 사건 국정조사에 대해서는 "여야가 합의한 사안이기 때문에 국정조사를 통해 국가권력이 어떻게 부당한 행위에 개입됐는지 철저하게 규명해야 하고 여기에는 여야가 있을 수 없다"며 "기왕에 약속한 국정조사는 반드시 실현될 거라고 기대하고 이 부분에 대해 새누리당도 협조할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새누리당 소속의 서상기 정보위원장이 정보위 소집에 응하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유일하게 지난 4월 국회에서 상임위가 열리지 못한 곳이 정보위"라며 "이제는 서 위원장이 고집을 꺾고 6월 국회에서는 정보위 수집에 당연히 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여야간사가 합의한 일정마저도 위원장이 독단으로 위원회를 취소하는 것은 정말 말이 안된다"며 "6월 국회까지도 소집에 응하지 않는다면 국정원 사건을 정말 과잉으로 막고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드시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더 이상 정보위 소집을 뒤로 미룰 수 없기 때문에 국회에서 소집될 수 있도록 강력하게 촉구하고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정보위 소집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