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디스플레이 기술 유출한 국내 연구원 덜미
중국 경쟁업체에 이직하기 위해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을 유출한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연구원 등이 경찰에 붙잡혔다.
경기지방경찰청 산업기술유출수사대는 중국 경쟁업체에 이직할 목적으로 플렉서블(flexible-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제조 활용 기술 등을 중국 A사에 유출한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이하 SMD) 책임연구원 이모(36)씨 등 3명에 대해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정모(37)씨 등 2명과 A사 법인 등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고 1일 밝혔다.
SMD 책임연구원인 이씨는 지난해 12월 하이디스 테크놀로지(하이닉스 분사회사)와 SMD에 함께 근무했던 중국 A사 직원 김모(39)씨로부터 요청받아 옥사이드 티에프티(Oxide TFT) 영업 비밀자료를 반출한 다음 김씨에게 보낸 혐의다.
또 LG디스플레이 아몰레드(AMOLED-자체발광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연구원인 김모(37)씨는 지난 1월 자신이 근무하는 연구실에서 '5.5세대 AMOLED 사업계획서' 파일을 휴대폰으로 촬영해 중국 A사 김씨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 조사 결과 이씨 등은 SMD 등에서 함께 근무하다 경쟁업체인 중국 A사로 이직한 김씨로부터 함께 이직하자는 권유와 함께 기술유출을 요청받은 후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을 빼낸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에 유출된 SMD의 옥사이드 티에프티 기술은 디스플레이 화소를 구동하는 내부 구동회로를 현재의 아머퍼스 실리콘 대신 옥사이드(Oxide-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하는 기술로 LCD 생산원가를 크게 낮추고 고해상도의 제품을 생한할 수 있으며 향후 투명·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이다.
SMD는 이 기술을 4년간 연구인력 30여명을 동원, 40억원의 연구비를 투자해 개발했다.
유출된 또다른 기술인 5.5세대 아몰레드는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물로 화면이 구성돼 있어 밝은 곳에서도 선명하게 보이고 화면 전환이 빠르며 얇게 제작해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은 약 38조원 규모로 국내 기업들의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경찰은 국가정보원 산업기밀보허센터로부터 관련 첩보를 입수, 1년간 추적 끝에 중국 A사에서 조직적으로 국내 연구원들을 포섭해 영업비밀을 유출한 증거를 확보했다.
경찰 관계자는 "내부 공모자들을 조기에 검거해 중요한 자료가 계속 유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했다"면서 "앞으로도 국내 신기술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도록 산업기술유출사범에 대한 수사를 강화할 방침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