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윤창중 성추행 의혹…상상할 수 없는 일"

2013-05-14     이원환기자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 최경환 의원의 러닝메이트로 출마한 김기현 의원은 14일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이런 사태가 어떻게 일어날 수 있었는 지 상상할 수 없는 일이자 언급하기 조차 창피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이같이 언급한 뒤 "처음 얘기를 들었을 때 도대체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었는 지 귀를 의심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의 중요한 방미 기간중에 대동한 대변인이 따로 움직이고 밤새 술을 마셨다는데 '어떻게 일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며 "거기에 성추행 의혹으로 온 국민을 창피하게 만들었으니 이런 터무니 없는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고, 문책과 더불어 다시는 이런 일이 안 일어나도록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사태 수습과 관련해 "사실 관계가 규명돼야 하지만 별개로 당사자인 윤 전 대변인이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조사 과정에서 본인 스스로 적극적으로 응해야 한다. 이남기 홍보수석의 경우는 사의 표명을 했기 때문에 책임조치가 이뤄졌다고 본다"고 입장을 밝혔다.

허태열 비서실장도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조사가 이뤄지는 것을 보면서 추가적인 문책도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민주당 등 야권에서 새로운 인사 원칙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이 지닌 국정 철학을 녹여 잘 실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돼야 한다"며 "그런 면에서 각자 직책에 맞는 권한도 같이 부여받는 형태로 팀워크가 잘 돌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전체적으로 인사시스템이 좀 더 강화돼야 한다는 점에서 동의한다"며 "비서진의 인선과정에서 좀 더 강화된 내부 검증 필터링이 필요할 것 같다"고 의견을 내놨다.

그는 인사시스템 개선을 위한 새누리당의 역할에 대해 "국회차원에서 이뤄진 인사청문 대상자는 국회의 검증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여당의 책임이 따른다"며 "이에 대해 사전에 조율하고 내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절차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회 검증 대상이 아닌경우에 있어서는 청문회 과정이 없다고 하더라도 부적격 사유가 있다면 그 의사를 청와대에 전달해서 관철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