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기름전쟁]해양환경복원사업 국비지원 '지지부진'

2011-12-01     유효상 기자

▲ 오는 7일 서해안유류사고가 발생한 지 4년째를 맞고 있으나 해양환경복원사업은 지지부진한 실정이어서 주민들은 조속한 사업시행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007년 12월 서해안유류사고 당시 태안 앞바다서 해양복원 자원봉사를 하고 모습이다. (사진=뉴시스 자료)
 

오는 7일 서해안유류사고 발생 4년째를 맞고 있으나 해양환경복원사업에 필요한 국비지원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1일 충남도 서해안유류사고지원본부(본부장 이명복)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연차적으로 해양환경복원사업에 4786억원을 지원키로 했으나 2010년 426억원, 2011년 458억원 등 현재까지 884억원이 지원됐다.

이 사업은 유류사고로 훼손된 자원 또는 생태계를 자연적인 생물의 다양성 및 생산성을 지닌 건강한 생태계로 복원하는 사업으로 '허베이 스피리트호 특별법'에 의해 지난 2009년 7월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했다.

지원 부처와 사업비는 국토해양부 792억원(사후 영향조사 및 생태계 모니터링), 농식품부 3821억원(어장 환경복원), 환경부 173억원(태안해안국립공원 복원) 등을 3개 부처에서 책임진다.

대상은 서해유류사고로 해안 피해를 입은 태안군, 홍성군, 서산시, 보령시, 서천군, 당진군 등 6개 시·군 3314.6㎢이다.

그러나 주민들은 해양환경이 완전히 복원되기까지는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해역은 집중적으로 조사 및 복원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민들은 지금까지의 국비지원과 사업속도로는 해양환경복원사업이 성과를 낼 수 없다면서 사업기한 단축을 촉구하고 있다.

또 지금까지 조사결과 일부 지역에서 국지적으로 소량의 타르와 유막이 발견되고 신두리 갯벌 등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고, 바다 속 서식 어종과 어선도 많이 감소된 상황이어서 주민들은 피해보상 못지 않게 해양환경복원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관광객 유치를 위해 해안길 조성 등 탐방편의시설 설치사업 확대 추진도 건의하고 있다.

충남도의회 유익환 의원(태안1)은 "유조선 기름 유출로 인한 해양생태계 파괴는 한순간이지만 해양생태계 복원은 세대를 넘어갈 수 있다"며 "정부가 지원키로 한 사업을 최대한 앞당겨 어민들이 제대로 먹고 살 수 있고 관광객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해양생태계 복원사업에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촉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