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회, 해외 승용마 인공수정 첫 임신
KRA한국마사회는 2011년 국내 최초로 해외에서 들여온 승용마 동결정액을 활용해 인공수정을 시도해 씨암말의 첫 임신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그동안 국산 동결정액을 활용한 승용마 인공수정 시도는 여러번 있었지만, 해외 우수 품종 승용마의 동결정액을 활용한 인공 수정 성공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인공인 씨암말은 경주용 말로 흔히 쓰이는 장수목장 소유의 '서러브레드(thoroughbred)' 1두로, 동결정액의 주인이 마차용 승용마로 애용되는 '클라이즈데일(Clydesdale)'인 것을 감안할 때 교잡으로 우수한 국산 승용마 개량도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마사회는 이번 성과를 시작으로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에 따른 승용마 인공수정 지원사업에 집중할 예정이다.
민간 승용마에 대한 인공수정 지원을 올해 30두에서 2020년 200두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다양한 교잡시험과 시범 생산으로 국산 승용마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마사회는 국산 승용마의 품종 개발과 정착을 위해 장수목장을 말 인공수정 사업 수행의 핵심 부서로 지정하고 마사회 승마단의 우수 씨암말, 경주 퇴역 암말 등을 활용해 매년 20두 이상의 승용마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승용마 생산기술 표준화 연구, 신선정액 민간 보급, 수의사·승용마 생산자 등 승용마 생산 전문 인력 양성, 경매를 통한 승용마 거래시장 조성 등 국내 승용마 생산기반 구축 사업도 진행한다.
홍순욱 마사회 장수목장 목장장은 "국내 승용마 생산규모는 독일의 100분의 1, 일본의 4분의 1인 연간 330여 두"라며 "경주마와 승용마간 생산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홍 목장장은 또 "경주 퇴역 암말을 대상으로 한 인공수정으로 잉여 경주마 자원의 활용도를 높인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