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내 대기업 식당 선정 '허술'
업체선정평가위원인 새누리·민주 의원 "참여 못했다"
국회에서 최근 운영에 들어간 '신세계푸드 식당'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평가 위원이었던 여야 의원들이 모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애초 업체 선정 과정이 허술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세계푸드는 정부가 업계 독점을 우려, 공공기관 구내식당 위탁운영을 배제한 곳이다. '중소기업 부흥', '독점 규제' 방안 강구에 부심하고 있는 국회에 이 같은 식당이 들어서게 된 것이 의외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국회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3월 식당 운영업체 선정 시 신세계푸드를 포함한 5개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는데 이 가운데 중소업체인 2개사는 각각 1차 서류심사와 2차 프레젠테이션 심사에서 탈락했다.
심사는 새누리당·민주통합당 의원 각 1명과 국회 사무처장 등 9명으로 구성된 업체선정심의위원회가 맡았으나 심사 당일 두 의원 모두 개인사정으로 참석하지 않았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당시 심사위원장을 맡았던 새누리당 손인춘 의원은 통화에서 "다른 식당 심사에는 모두 참여했는데, 당시에만 다른 회의가 있어서 참여를 못했다"며 "그 때 본회의 때문에 그랬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심사위원인 민주당 서영교 의원은 "위원으로서 참석하라는 것을 (심사) 직전에 연락을 받았다"며 "당시 다른 일이 겹쳐서 참석을 못했고, 다만 (심사위에) 연락을 해서 직영으로 바꿨으면 좋겠다고 얘기를 했다"고 말했다.
결국 심의위는 두 의원 없이 업체 평가를 실시했던 것이다. 국회 관계자는 "공급능력과 음식의 맛 등이 주된 평가기준이었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신세계푸드는 지난해 기획재정부가 중소기업 지원책의 일환으로 공공기관 구내식당 위탁운영업체에서 배제한 6개 기업 가운데 하나였다. 기재부의 배제 권고 조치는 86개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던 181개 식당 중 74개가 대기업 소유로 전체의 41%를 차지, 독점이라는 지적이 나온데 따른 것이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6개 재벌기업에 대한 배제 권고는 현재에도 유효하다. 기간을 정해놓고 권고를 한 것은 아니다"라며 "가능하면 공공기관 구내식당 입찰시 중소기업으로 했으면 좋겠다는 취지에서 한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구내식당 입찰에 참여했던 한 중소급식업체 대표는 "저희가 왜 탈락했는지도 몰랐다"며 "신세계푸드는 배제 대상으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입점하게 됐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소급식업체들은 대기업의 추가 진입을 막아달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경제민주화가 말 뿐인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