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에 신종플루 의심환자 격리시설 생겼다
국가격리시설 '중앙검역의료지원센터' 준공
사스(SARS)나 신종플루 등 법정감염병이 유행할 때 입국 여행객 중 의심환자를 격리해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격리시설이 마련됐다.
보건복지부는 3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인근에 국가격리시설인 '중앙검역의료지원센터' 건립 기념 준공식을 열었다.
중앙검역의료지원센터는 지난해 12월에 착공한 뒤 개별관찰실(21실), 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가변관찰실, 검사실, 의료지원실 등을 갖춰 지상 4층,연면적 3873㎡ 규모로 완공됐다. 복지부는 센터 건립에 67억원을 투입했다.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남서쪽 1㎞부근에 위치한 센터는 검역현장인 공항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검사실과 의료지원까지 연계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 사스나 신종플루 등 유행기간에 입국 여행객 중 의심사례자(발열 37.8도 이상자)는 검사결과가 나올때까지 일정시간(6시간~24시간) 센터에서 대기할 수 있다.
실제 2009년 신종플루 유행 당시 공항 인근에 별도의 격리시설이 없어 여객터미널에 빈 공간에 격리된 의심환자들의 항의가 빗발쳤고 검역을 위해 파견된 의사와 군병력이 숙소를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앞으로 시설은 감염병이 유행할 때 중앙대책지휘본부와 격리 및 관찰시설, 비상물품 보관·지원인력 숙소로 활용된다. 평상시에는 검역지원을 위한 행정사무실, 검사실, 검역관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시설 등으로 활용된다.
이날 준공식에는 임채민 복지부 장관, 박상은 한나라당 의원, 이영근 인천국제공항공사 부사장과 유관기관직원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임 장관은 "국가격리시설인 중앙검역의료지원센터가 준공됨에 따라 신종인플루엔자 등 해외유입 감염병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국가적 인프라가 구축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