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소비자 물가 공공요금이 찬물?…"요인 있어도 분산해야"

2013-04-01     엄정애기자

3월 소비자물가 안정세에 공공요금이 찬물을 끼얹었다.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1.3%의 안정세를 보였지만 전기·가스·수도요금은 6.1%나 증가해서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비 1.3%를 기록했다.

이에 반해 공공요금 증가율은 전년동월에 비해 6.1% 증가했다. 전월에 비해서도 1.8% 늘었다. 이는 지난 2월과 3월 공공요금이 차례로 오르면서 요금에 본격적으로 반영됐기 때문이다.

도시가스는 전년동월보다 8.9%, 전기료는 4.2%, 지역난방비는 6.5% 올랐다.

그동안 물가안정을 위해 MB정부가 공공요금을 지나치게 틀어 막은게 연쇄적인 공공요금 인상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대신 공공요금의 인상요인이 충분하더라도 생활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분산의 묘를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다.

강준구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정부가 상당기간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해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다"며 "대신 체감물가에 영향이 큰 만큼 인상이 불가피하더라도 시기조절 등을 조절해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