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연수원서 교육하랬더니"…96%가 '휴양'
현직 국회의원과 국회소속 공무원의 96%가 '휴양'을 위해 국회연수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연수원은 국회의원과 국회 소속 공무원들의 교육과 연수활동을 위해 만들어졌으나 사실상 '휴양콘도'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10일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정보공개센터)에 따르면 인천 강화군에 위치한 국회연수원의 지난해 사용 건수는 모두 582건, 3638명이 이용했다.
이 중 561건, 3320명은 '가족모임이나 휴양' 목적으로 국회연수원을 방문했다. 96%에 달하는 수치다. 반면 교육과 연수를 목적으로 한 방문은 21건, 318명에 불과했다.
정보공개센터 관계자는 "지난 2002년에 지어진 국회연수원이 준공 1년 만에 국회 직원들의 휴양콘도로 이용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이후 사용형태가 개선되기보다 '휴양소'로 자리매김 된 모양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같은 지적에도 불구하고 국회는 수백억원대 예산을 들여 강원 고성군 토성면 도원리에 신규 국회연수원을 건립 중이다.
고성연수원은 부지면적 42만7063㎡(12만9413평)에 2016년까지 건립예산이 모두 430억원 가량으로 각각 강화연수원의 10배와 30배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30억원의 기본설계비가 지출된 상태다.
기획재정부는 '고성연수원 사업규모가 지나치게 크다'며 국회사무처의 요청 예산 23억400만원 중 8억5200만원만 편성했다.
정보공개센터 관계자는 "대부분 교육이나 세미나, 토론회가 국회 내 연수원과 국회의원 회관 세미나실, 회의실에서 열려 강화연수원이 교육연수 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지리적 요건이기 때문이 이는 상식적으로 충분히 납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강원도 고성에 새로운 연수원이 세워진다고 해도 교육연수가 갑자기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국회가 정말 필요한 곳에 적절한 세금을 쓰고 있는지 냉철한 판단과 비판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