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법 재의결 촉구' 영호남 택시 일부 운행 중단…운행 재개 잇따라
택시업계가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하는 택시법(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재의결을 요구하며 일부지역에서 운행을 중단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운행을 재개하는 택시들이 늘어나 단체행동의 동력이 떨어지는 양상이다.
부산 지역은 오전 8시부로 전면 운행을 재개했고 한때 모든 택시 운행이 멈췄던 울산 지역은 개인택시를 위주로 운행이 일부 재개된 상태다.
31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현재 영호남권 택시 1만218대가 운행을 중단했다. 오전 7시 대비 2318대가 운행 중단을 푼 것이다.
영호남권 택시업계는 전날 정부가 대체 제안한 택시지원법 대신 택시법 재의결을 요구하면서 1일 한시적으로 운행을 전면 중단하고 비상 합동총회를 열기로 했다.
시도별로 보면 부산은 1만8551대 중 11인 2000대가 운행 중단에 참여했지만 오전 8시부로 운행 중단을 해제했다.
경남도 전체 1만3372대 중 1%인 6대만 한때 운행을 중단했으나 현재 재개했다.
또 울산은 한때 모든 택시 운행이 멈췄지만 일부 개인택시(1839대)를 위주로 운행이 재개된 상태다.
전체 5785대 중 68%인 3946대(법인택시 전부와 개인택시 일부)만 운행을 멈추고 있다.
전남과 광주도 운행 중단 이탈이 늘어나고 있다.
전남은 7178대 중 27%인 1972대(개인택시 불참, 법인택시 일부 참여), 광주는 822대 중 7%인 600대(법인 택시 일부 참여)가 시동을 끈 상태다.
전남은 2695대, 광주는 1700대가 한때 운행중단에 참여했다가 운행을 재개했다.
대구(1만764대)와 경북(1만276대)은 이날 운행 중단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운행 중단에 불참했던 전북은 오전 10시부터 전체 9516대 중 38%인 3700대(법인 2000대, 개인 1700대)가 운행 중단을 시작했다.
이날 부산과 광주에서 열리는 권역별 총회에는 각각 4600명(울산 800명, 부산 2000명, 경남 812명, 대구 1000), 3500명(광주 1500명, 전남 1300명, 전북 7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불법 운행중단 택시에 대해 유가보조금 지급정지, 감차명령, 사업면허취소 등 행정처분할 방침이다.
운행 중단과 집회 철회를 유도하는 한편 운행 중단 상황에 따라 버스 예비차량 운행, 도시철도 증편, 택시부제 해제, 승용차 요일제 해제 등 비상수송대책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