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동 방사능 아스팔트' 해결은 언제나?
민주당 진상조사위, 28일 폐아스팔트 보관 현장방문
서울 노원구 월계동 주택가 이면도로에서 방사능 물질인 세슘이 검출된지 20여일이 지났지만 처리방법이 정해지지 않아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는 동안 주민들은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이 가동되는 내년 말까지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300여t과 함께 지내야할 상황에 몰리고 있다.
28일 노원구에 따르면 구가 4일 월계동에서 걷어낸 폐아스팔트 300여t은 구청사 뒤편 공영주차장에 임시보관 중이다.
노원구는 1일 방사능 유출 사실이 확인된지 3일만에 불안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해당 지역 아스팔트를 걷어냈다.
폐아스팔트를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지에 있는 중저준위 폐기물 간이 보관시설로 옮기려 했지만 원자력연구원측은 '규정이 없다'며 거부했다.
마땅한 장소를 찾지 못한 노원구는 상계동 모공원내 폐수영장에 보관했다. 하지만 이사실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상계동 인근 주민들이 들고 일어났다.
주민들의 반발이 커지자 노원구는 17일 폐아스팔트를 인적이 적은 공영주차장으로 옮겼다. 경주방폐장이 완공되는 내년 말까지 이곳에 폐아스팔트를 보관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그러자 공영주차장 인근 주민들이 재차 들고 일어났다. 성난 주민들은 폐아스팔트를 덮은 방수포를 찢는 실력 행사까지 하며 반발했다.
또 노원구 방사능폐기물 이전촉구 주민대책위원회(대책위)는 폐아스팔트 이전을 촉구하는 서명에 돌입했다.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지만 정부는 '방사성 폐기물 관리법'에 따라 도로 관리청인 노원구가 처리할 문제라며 개입을 꺼리고 있다.
폐아스팔트 처분 비용 100억원도 노원구가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노원구는 정부와 서울시의 지원만을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노원구 관계자는 "방사능으로 인한 주민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가장 급한 일"이라며 "정부가 문제해결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와 지자체간 갈등이 깊어지자 민주당은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렸다. 위원회는 28일 폐아스팔트 보관현장을 둘러보고 정부가 책임있는 자세를 취해줄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방사성 물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정부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며 "정부가 책임을 떠넘기지 말고 폐기물 처리 및 재원 마련 계획을 내놔야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