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땅값 상승률 10개월 연속 전국 1위
정부 부처 이전이 본격화되고 있는 세종시가 10개월 연속 땅값 상승률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세종시는 지난해 누적 땅값 상승률도 1위를 기록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12월 전국 땅값이 지난달에 비해 0.08% 상승해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2008년 10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에 비해 0.11% 낮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행정구역별 땅값 상승률을 보면 서울시는 0.05%를 기록해 3개월 연속 소폭 상승했다. 25개 자치구도 모두 올랐다. 강남구는 0.09%, 서초구는 0.07%, 송파구는 0.07%, 양천구 0.01%, 용산구 0.09% 상승했다.
세종시는 같은 기간 0.49% 상승해 지난해 3월부터 10개월 연속으로 땅값 상승률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누적 땅값 상승률은 5.98%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이 들어설 인천 연수구(0.376%), 개발 사업 등이 진행 중인 경기 하남시(0.232%), 경북 예천군(0.213%), 강원 원주시(0.201%) 등순으로 그뒤를 이었다.
반면 지역 개발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인천 옹진군(-0.057%)과 고양 덕양구(-0.057%), 인천 중구(-0.052%), 경기 과천시(-0.011%), 인천 강화군(-0.002%) 등은 땅값 상승률 하위 1~5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용도지역별 땅값 상승률을 보면 주거지역(0.08%)은 3개월 연속 소폭 상승했다.
상업(0.11%), 자연환경보전(0.06%) 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됐고 농림(0.05%), 생산관리(0.06%), 녹지(0.08%) 등은 감소했다.
같은기간 이용상황별 땅값 상승률은 주거용(0.06%)은 3개월 연속 올랐고 기타(0.11%), 전(0.11%) 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답(0.07%), 임야(0.04%), 상업용(0.07%) 등은 내렸다.
같은기간 전체 토지거래량은 모두 22만3804필지(1억4996만7000㎡)로 지난해 같은달(24만59필지·1억8609만7000㎡) 보다 필지수로는 6.8%, 면적으로는 19.4% 줄었다.
최근 3년간 12월 평균 거래량(23만2000필지)에 비해서는 3.8% 감소했다.
순수 토지거래량은 모두 7만4556필지(1억3637만㎡)로 지난해 같은달(8만9750필지·1억7313만2000㎡) 대비 필지수로는 16.9%, 면적으로는 21.2% 줄었다.
최근 3년간 12월 평균 거래량(9만7000필지) 보다는 23.2% 감소했다.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한다. 지난해 12월 현재 전체 토지거래량 대비 필지수로는 33.3%, 면적으로는 90.9%를 차지했다.
지난해 전국 땅값은 지난해에 비해 0.96% 올랐다. 지방권(1.47%)에 비해 수도권(0.68%)의 안정세가 두드러졌다.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 중 강원(1.79%)과 부산(1.73%)이 땅값 상승률 상위 1~2위를, 서울(0.38%)과 인천(0.46%)은 하위 1~2위를 기록했다.
세종시를 포함한 시군구별 땅값 상승률은 세종시(5.98%)가 가장 높았다.
보금자리주택 건설이 활발한 경기 하남시(3.41%)와 혁신도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대구 동구(2.61%)·달성구(2.56%), 동계올림픽 관련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강원 평창군(2.56%)이 그뒤를 이었다.
반면 신규 개발사업이나 도심 재개발 등이 부진한 인천 중구(-0.94%)·옹진(-0.27%)·동구(-0.15%)와 서울 성북구(-0.11%)·은평구(-0.09%)는 땅값 상승률 하위 1~5위를 나눠가졌다.
한편 지난해 1년간 전체 토지거래량은 204여만필지, 18억2000만㎡로 지난해에 비해 필지수 기준 12.2%, 면적 기준 7.4%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