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9개 공공시설에 '민간참여형 태양광 발전소' 첫 설치
서울시가 시 소유 공공시설 내 지붕, 옥상 및 구조물 상부 등의 유휴공간을 제공하고 민간이 일정한 임대료를 납부해 시설을 운영하는 ‘민간참여형 태양광 발전소’가 첫 선을 보인다. 생산된 전기는 전력거래소를 통해 판매해 민간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서울시는 ▴암사아리수정수센터(5MW) ▴강서농산물도매시장(1.5MW)▴지하철 9호선 개화차량기지(1MW) ▴양재동 양곡도매시장(1MW) ▴구의・광암 아리수정수센터(5MW) ▴서남・중랑・난지 물재생센터(11.5MW) 총 9개소, 25MW시설에서 하루 80MWh, 1년이면 2만9,200MWh의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햇빛 발전소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이는 4인 가정 7,500가구가 1년간 사용(연간 약 4,000kWh 사용 시)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이들 9개 공공시설에 들어서는 태양광 발전소는 오는 12월 착공, 내년 3~4월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원전하나줄이기’사업 중 에너지 생산 파트의 일환으로써, 서울시는 민간참여형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본격화해 도시 전체를 ‘햇빛도시 서울’로 가시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14년까지 320MW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한다는 목표다. 이번에 참여하는 민간 업체는 ▴한화솔라에너지 ▴OCI(주) ▴(사)에너지나눔과평화 ▴한국수력원자력(주) 4곳이다.
특히 암사아리수정수센터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소는 시설용량 5MW 규모로 하루에 16MWh를 생산, 서울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소 중 최대 규모다. 정수센터의 여과지 및 침전지 상부, 자투리 공간이 모두 태양광 시설로 덮인다. 강서구 외발산동에 위치한 서울시 농수산물 공사 강서농산물도매시장은 청과물동 지붕 등에 설치된다.
임대료는 지역에 상관없이 발전시설 설치 용량기준인 kW당 2만 5천원으로 일괄 적용하도록 했다. 이는 같은 서울에서도 토지가격으로 인해 설치 공간 임대료가 지역에 따라 수십배 이상 차이가 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이전에도 에너지조례를 개정해 공유재산 사용료를 기존 5%에서 1%로 낮추는 등 시 소유 공공시설에 민간자본 유치를 위해 노력했지만 여전히 높은 공시지가로 인해 민간의 투자가 활성화 되지 않았다.
이로써 기업 뿐 아니라 시민협동조합 등 민간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특히, 150kW이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서울시 기후변화기금을 활용해 설치비의 40%를 연리 2.5%, 8년 균등분할 상환 조건으로 융자지원(최대 1억 원 이내)하고 있다. 이외에도 우리은행과 국민은행에서도 햇빛발전사업자에게 연리 4.1~4.2%, 설치비의 70~90%까지 융자 지원하는 대출상품을 출시해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시는 시의 모든 건물 옥상에 이미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 및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시설 용량 등을 시민들이 손쉽게 파악해 태양 광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서울햇빛지도'를 내년 3월부터 서울시 홈페이지 등 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