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거울 듯했던 文·安토론 '예상외로 접전'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21일 단일화 토론이 싱거울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불꽃 튀는 공방전이 벌어졌다.
초미의 관심사가 단일화 협상인 만큼 두 후보는 토론 초반에 일찌감치 단일화를 위해 회동을 갖자는 데 합의했다.
문 후보가 먼저 "(안 후보가) 후보간에 직접 만날 수 있다고 했는데 내일이라도 만나자"고 전격적으로 제안하자 안 후보는 "그렇게 하시면 좋겠다. 국민이 답답해한다. 좋은 방안이 도출됐으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이후 두 후보가 가장 치열하게 맞붙은 주제 역시 단일화였다.
공격을 시작한 쪽은 문 후보였다. 문 후보는 안 후보를 향해 단일화방식 협상팀을 장악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며 공세를 폈다. 특히 안 후보 측 협상팀이 공론조사(지지층 조사) 방식과 여론조사 상 가상대결 문구를 일관되게 요구하는 점을 강한 어조로 지적했다.
이에 안 후보는 창의력 있는 팀원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줬고 수정안도 내놨지만 의견접근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오히려 문 후보 측에 책임을 돌렸다.
새정치공동선언 상 국회의원 정수 조정 부분의 해석을 놓고도 두 후보는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이번에도 역시 문 후보가 먼저 의원 정수 축소가 아닌 지역구-비례대표간 비율 조정이라고 주장한 뒤 "잘못 보고 받았냐"며 안 후보를 압박했다.
그러자 안 후보는 선언문을 직접 읽으며 "의원정수를 현상으로 유지하는 것은 조정이 아니다. 그러면 의원 수를 확대하자는 것이냐"고 반격했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의 사퇴를 놓고도 두 후보간 시각차가 뚜렷했다.
문 후보가 새정치공동선언 실무팀을 지목하며 "지속적으로 이해찬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에 대한 인적쇄신을 요구했다"고 폭로하자 안 후보는 인적쇄신을 거론한 것이 아니라는 뜻을 전달했다며 맞섰다.
한동안 수세에 몰렸던 안 후보는 토론 중반 들어 ▲청와대 민정수석 당시 법인세 2% 인상 ▲참여정부의 경제관료-삼성그룹 결탁 의혹 ▲참여정부 당시 대학등록금 폭등 ▲의료비 100만원 상한제 실현 가능성과 재원 조달 방안 ▲남북정상회담 조기개최 논란 등을 조목조목 지적하며 문 후보를 압박했다.
그러나 문 후보는 ▲재벌 계열분리명령제 실효성 ▲안 후보의 금융감독기구 개편 방안에 따른 기획재정부 거대기구화 논란 ▲안 후보 대북정책의 이명박 정부와 유사성 등으로 응수했다.
토론 후 두 후보 측은 서로 자기 후보가 선전했다는 평을 내놓으며 기 싸움을 벌였다.
문 후보 측 진성준 대변인은 "국정경험이 바탕이 돼있기 때문에 비전과 정책의 총론뿐 아니라 각론에서도 강하고 치밀한 면모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안 후보 측 유민영 대변인은 "국정에 대한 파악도, 현명한 해결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도와 설명을 보였다"며 "초기에 긴장한듯했지만 점차 안정화되면서 자신감 있고 안정감 있게 토론을 이끌었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