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54.3% "착한가격업소 물가안정에 기여"
행안부, 이용객-업주 등 3187명 설문조사결과
정부가 주변업소보다 저렴한 업소를 착한가격업소로 선정해 운영하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은 착한가격업소의 가격에 만족하고 물가안정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8월21일부터 9월12일까지 착한가격업소 이용객 1405명과 업주 706명 등 총 3187명을 대상으로 한 착한가격업소 관련 설문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행안부는 지난해 11월부터 개인서비스요금 안정을 위해 주변업소보다 저렴한 7132개 업소를 착한가격업소로 선정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착한가격업소 활성화가 물가안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응답자(업주제외)의 54.3%가 '물가안정에 기여한다'고 답했다.
착한가격업소를 이용해본 고객들의 70.8%는 '가격에 만족한다'고 답했고, 비슷한 비율로 서비스(69.5%)·품질(69.1%)·청결도(64.7%)에 만족한다고 대답했다.
또 착한가격업소의 48%가 지정 이후 매출이 증가했고 이용고객의 56.5%가 착한가격업소 인지 이후 이용횟수가 증가했다고 밝혀 착한가격업소 지정이 업소의 매출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착한가격업소 이용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응답자의 65.7%가 언론·인터넷·모바일 홍보를 꼽았다.
다만, 현재 지원되는 인센티브에 대해 착한가격업소 업주들의 절반 이상(53.1%)은 만족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업주들은 앞으로 쓰레기봉투 등의 지원과 상·하수도요금 감면 등 각종 인센티브 확대를 희망했다.
심보균 행안부 지역발전정책국장은 "착한가격업소 활성화는 업주와 고객의 만족은 물론 물가안정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정책"이라며 "다양한 홍보를 통해 착한가격업소를 더 많은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내실 있게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