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지사 "버스요금 올리자" VS 朴시장 "취임 한달밖에 안됐는데…"

2011-11-24     손대선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24일 10·26 재보궐선거 이래 처음으로 회동해 수도권 버스요금 인상과 관련해 머리를 맞댔지만 기존입장을 재확인하는데 그쳤다.

두 사람은 이날 오전 7시 서울 서초구 반포동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조찬간담회를 갖고 수도권 최대현안인 버스요금 인상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지난 26일 경기도가 버스요금인상을 결정하고 고지한 상태"라며 "버스요금 부분은 서울, 경기, 인천이 협력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아 서울시의 즉각적인 버스요금인상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버스요금부분에 대해서는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취임 한 달도 안 된 시점에서 요금인상에 대한 영향과 대책에 대해 좀 더 추가적인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실상 김 지사의 요구를 거부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 관련해서도 두 사람은 접점을 찾지 못했다.

김 지사가 GTX 사업에 대한 서울시의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하자 박 시장은 "서울시 입장에서는 재정부담으로 인한 부채나 채무가 많은 상태에서 당장 시행하기 어렵다"며 "장기적으로는 필요성을 검토해 나가겠다. 내용을 우선 좀 더 파악하겠다"고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김 지사는 이와함께 "대중교통 특히 버스운영에 관한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며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들어오는 광역버스의 도심진입허용과 노선 증대를 박 시장에게 건의했다.

김 지사는 또 혹한기를 앞두고 광역버스를 이용해 밤 늦게 서울시에서 경기도로 퇴근하는 시민들을 위해 버스정류장에 가림막을 설치해달라고 요청했다.

조찬간담회를 마친 뒤 김 지사는 기자들에게 "버스 요금 부분은 서울 경기 인천이 이미 시장 취임하기 전에 각 담당국장들이 모여서 합의가 돼 있었다"며 "같이 11월26일부터 요금 올리기로 합의돼 있었다"고 다시 한 번 버스요금 인상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김 지사는 구체적으로 "경기도 희망은 서울, 경기, 인천 세 자치단체는 사실 경기도만 하더라도 하루 460만명이 버스를 이용한다. 버스 이용이 워낙 많기 때문에 3개 자치단체가 가장 긴밀하게 협력해야 할 영역"이라며 "이 점에서 서울시도 인천, 경기와 함께 잘 보조를 맞추는 것이 시민들에게 혼란이 적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그런 말씀까지 참고해서 하겠다"고 여전히 선을 그었다.

두 사람은 서울시와 경기도가 인접 지자체로서 앞으로 주요현안에 대한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는 인식을 같이했다.

류경기 서울시 대변인은 "서울시와 경기도가 인접 자치단체로서 앞으로의 대중교통을 포함한 고양시 주민기피시설 협력방안 등의 협의를 지속적이고, 상시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합의했다"며 수도권행정협의회 등 기존 협의체 외에도 상시적 협의위한 새로운 창구를 만들자는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