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진당 현역의원 6명 중 4명 사법처리 위기
통합진보당 소속 현역 의원 6명 중 이상규(서울 관악을)·김재연(비례) 의원을 제외한 4명이 사법 처리 위기에 맞닥뜨린 것으로 확인됐다.
통합진보당은 '진보정당을 파탄시키기 위한 한편의 첩보극'이라는 표현까지 동원해가며 검찰을 비난하고 있다.
7일 통합진보당에 따르면 김선동 의원(전남 순천시·곡성군)은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한미FTA 비준동의안을 저지하기 위해 최루탄을 터뜨린 사건과 관련, 보좌관 6명 등과 함께 서울남부지법에서 형사재판을 받고 있다.
이밖에 전직 사무총장인 오병윤(광주 서구을)·김선동 의원은 2010년 당시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으로 민주노총 간부 60여명, 지역위원회 간부 10여명과 함께 재판을 받고 있다.
경기 성남시 중원구 지역구 의원인 김미희 의원 역시 재산세 누락 등 이유로 재판이 진행 중이다.
비례대표 의원인 이석기 의원은 자신이 운영했던 CN커뮤니케이션즈의 선거비용 부풀리기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특히 CN커뮤니케이션즈 사건과 관련해서는 3월 장만채 교육감 구속, 6~7월 장휘국 교육감 2회 소환, 전현직 직원 4명 긴급체포 등 수사 절차가 차례로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 2010년 지방선거 후보 및 회계책임자, 지난해 보궐선거 후보 및 회계책임자, 올해 4·11 총선 후보 및 회계책임자, 협력업체 관련자 등 모두 69명이 CN커뮤니케이션즈 사건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당하거나 조사를 받고 있다.
현역 의원 외에도 통합진보당 당원들을 향한 검찰의 공세가 거센 상황이다.
4·11 총선 당시 비례대표 부정경선 사태와 관련해 총 14개 지검이 지난달 27일까지 통합진보당원 825명을 소환 조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당에 통보되지 않은 대상자까지 포함하면 소환조사자가 1000명에 달한다는 것이 통합진보당의 설명이다.
아울러 서울 관악을 야권 후보단일화 경선 여론조사 조작 의혹 사건과 관련해 지난달 27일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혐의로 당직자와 보좌관 등 4명이 구속됐다. 구속된 4명 외에 10명은 불구속 기소, 나머지 10명은 약식기소됐다. 당내 대선경선 후보인 이정희 전 공동대표는 무혐의 처분을 받은 바 있다.
유선희 대변인은 "지금까지 정리한 현황만으로도 명백한 정권차원의 정치탄압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며 "마치 공안기관이 진보정당을 파탄시키기 위해 벌이는 한편의 첩보극을 보는 듯하다"고 지적했다.
또 "고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등 한 정치인에 대한 정권의 탄압은 있어왔지만 공당에 대한 전면적이고 전방위적인 탄압은 대한민국 역사상 있어본 일이 없다"며 "해도 해도 이럴 수는 없는 일"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러면서도 "통합진보당은 건재하며 이 정도로는 죽지 않는다"며 "현재 정치탄압에 대한 법적대응을 포함한 전면 대응 태세를 차분히 준비 중이다. 검찰과 정권은 당 탄압 시도를 지금이라도 즉각 중단하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