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 56.3%, 퇴직 후 준비 안 돼

2011-11-24     최현 기자

 

▲ 작년부터 전후 1차 베이비부머(55~63년생)의 퇴직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이들 10명중 6명은 퇴직 이후 생활에 대한 준비가 안 되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경련 중견전문인력 종합고용지원센터는 전문조사기관 '리서치 앤 리서치'가 전국의 베이비부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퇴직이후 노후생활 준비가 안 돼 있다'(56.3%)가 '준비되어 있다'(13.9%) 보다 4배 이상 높게 나왔다고 23일 밝혔다.(그래픽=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지난해부터 전후 1차 베이비부머(55~63년생)의 퇴직이 본격화하고 있지만 이들 10명중 6명은 퇴직 후 생활에 대한 준비가 안 되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경련 중견전문인력 종합고용지원센터는 전문조사기관 '리서치 앤 리서치'가 전국의 베이비부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퇴직이후 노후생활 준비가 안 돼 있다'(56.3%)가 '준비되어 있다'(13.9%) 보다 4배 이상 높게 나왔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베이비부머들은 퇴직 이후 '생계비·자녀교육비 등 경제적 문제'를 가장 크게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베이비부머들은 퇴직 이후 가장 큰 걱정거리로 '생계비·자녀교육비 등 경제적 문제'(64.3%), '본인의 건강문제'(13.9%), '정신적 스트레스'(10.0%), '갑작스런 공백시간 활용문제'(7.4%) 순으로 꼽았다.

또한 퇴직 이후 경제적 문제에 대해서는 남성(65.0%)이 여성(51.0%)보다 더 고민이 많았지만, 직업별로는 생산직(60.4%), 사무직 종사자(65.0%) 보다 가정주부(66.7%)들이 크게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들은 퇴직 이후 경제문제 해결방법으로 '직장에 재취업'(48.8%)을 가장 선호했으며, '자영업 및 창업'(20.6%), '연금·퇴직금·보험금으로 생활'(14.1%), '부동산 처분'(6.9%) 순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베이비부머들은 '중소·중견기업에 재취업 할 의사가 있나'는 설문에는 88.4%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이들 중 35.7%는 재취업 할 경우 희망연봉으로 '3000만원 내외'가 가장 높았다.

베이비부머들이 산업현장에서 최소 10년 이상 다양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쌓은 숙련된 경력자임에도 불구하고 눈높이를 낮추는 이유로 종합고용지원센터는 이들이 퇴직 이후 필요한 자금수준에서 희망연봉을 결정했고, 일할 의지가 높아 눈높이를 낮춘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퇴직 이후 연간 필요한 자금을 '3000만원 미만'(39.4%), '2000만원 미만'(21.9%), '4000만원 미만'(15.6%) 순으로 예상했다. 자금마련을 위해 앞으로 '10년 더 일할 생각이다'(49.5%), '20년 더 일할 생각이다'(10.4%) 등 10년 이상 일할 의지가 있는 응답자가 78%에 달했다.

하지만 베이비부머들의 재취업이 활성화되려면 무엇보다 업무능력을 중시하는 기업과 사회 풍토가 조성돼야 하며, 정부보조금 지급 등으로 퇴직자 채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베이비부머의 재취업을 높이기 위해 '나이보다 업무능력을 중시하는 기업 및 사회풍토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43.3%), '정부가 고용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확대하여 퇴직자를 채용하는 기업이 늘어나야 한다'(28.3%), '퇴직자에게 다양한 재취업 전문교육을 실시해줘야 한다'(15.3%) 순으로 조사됐다.

현재 중소기업이 중견전문인력을 채용하면 고용인원 1인당 연간 최대 1080만원의 인건비를 고용노동부가 보조해주는 '중소기업 전문인력 활용 장려금' 제도가 갖춰져 있다.

하지만 경영기획, 인사·노무, 재무, 마케팅 등으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전문인력 범위가 제한돼 있다. 베이비부머들의 상당수가 계약직으로 채용되지만, 계약직 채용은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어 적극적인 확대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베이비부머들은 재취업 활성화의 기대효과로 '산업현장에서 체득한 전문지식과 노하우가 중소·중견기업에 전수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60.9%)가 가장 많았으며, '중산층 보호로 사회양극화를 예방할 수 있다'(15.2%)가 뒤를 이었다.

양금승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베이비부머는 경제선진화와 글로벌화, 경제위기 극복에 중추적 역할을 해온 우리 시대의 소중한 사회적 자산"이라며 "앞으로 베이비부머들의 중소·중견기업으로 재취업이 활성화되면 이들의 성장 DNA와 다양한 경험이 중소·중견기업 역량 강화 및 사회안전망 구축, 국가재정의 건전성 확보에도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