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지사, 민주당 '도정공백' 공세에 정면충돌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패한 뒤 도정에 복귀한 김문수 경기지사가 5일 도의회 임시회에서 제기된 '도정공백'과 '회전문 인사' 등의 비판에 대해 정공법으로 대응했다.
김 지사는 "도정공백의 근거를 제시하라. 위법한 인사채용 있으면 법적으로 처리하라"며 정면으로 맞섰다.
이날 열린 제271회 도의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민주통합당 김종석(부천6) 의원은 김 지사가 사퇴하지 않고 경선에 참여해 도정공백이 발생했다며 김 지사를 몰아세웠다.
그는 "도의회 결산 심사 때 불참했고, 녹조·가뭄·폭염으로 신음할 때 김 지사는 경선 참여로 도지사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고 비판했고 김 지사는 "물론 제가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그렇다고 공백이 발생했다고 볼 근거도 없다"고 응수했다.
김 지사는 또 경선 당시 도지사 업무추진비를 선거비용으로 지출했다는 김 의원의 의혹 제기에 "그런 일이 있으면 적절한 조치를 취해달라"고 맞섰다. 김 의원이 발끈해 "고발하라는 뜻인가"라고 되묻자 "공직기강을 바로세우기 위해 어떤 조치라도 하라는 뜻이었다"고 해명했다.
김 의원은 재임기간 수백회의 대학 특강도 공백을 부추겼다고 꼬집었다. 이에 김 지사는 "도지사 특강을 도정공백이라고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은 전국에서 의원님 외에 없을 것"이라고 맞섰다.
김 지사와 김 의원은 김 지사 측근의 계약직 채용 문제에서도 공세를 이어갔다. 김 의원은 "김 지사 측근들이 계약직 채용, 사퇴를 번복하고 있다. 제집 드나들 듯하는데 경기도가 사조직이냐. 지사 측근이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김 지사 재임기간 중 3회 이상 채용과 사퇴를 반복한 측근들이 12명에 이르고, 이중 1명은 5번에 이른다는 내용의 자료를 근거로 제시했다.
김 지사는 그러나 "부정적인 측면만 부각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 지사 측근이라고 해서 부적합하다는 것도 과도하게 매도한 것"이라며 "채용에 문제가 있다면 의회에서 적법하게 처리해 달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