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모바일선거인단 모집 일부 '무리수' 드러나

2012-08-31     장진복 기자

 대학생 A(21·여)씨는 최근 황당한 일을 겪었다.

서울 소재의 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A씨는 30일 오후 1시께 교내 카페에서 본인에게 말을 걸며 다가오는 남성 2명과 마주쳤다. 자신을 J대 대학생이라고 소개한 이들은 A씨에게 '대학생 투표문화 개선 캠페인'에 동참해 줄 것을 권유했다.

단순한 대학생 투표율 높이기 활동을 벌이는 것으로 파악한 A씨는 그 자리에서 이들에게 본인의 이름과, 휴대전화 연락처를 알려줬고 그들은 이를 기록했다.

또 "이 번호로 전화하면 앞으로 모든 투표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며 알려준 번호에 전화를 걸어 받은 인증번호까지 기록했다.

민주통합당 국민참여 선거인단 접수는 신청인이 직접 콜센터를 통해 전화를 걸어야만 접수가 가능하다.

A씨는 민주당으로부터 선거인단에 등록됐다는 사실을 하루 뒤인 31일에야 뒤늦게 확인했다.

A씨는 "당시 민주당의 민자도 꺼내지 않았고 당시 인증과정에서도 경황이 없어서 정확한 내용을 몰랐다. 20대 후반으로 보였고, 본인을 J대학생으로 소개해 의심하지 않았다"며 "민주당 선거인단 가입이라고 하면 학생들이 가입을 안 하니까 대학생 투표 캠페인이라고 거짓말을 하고 (선거인단을) 늘리는 술수를 쓰는 것 같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A씨에 따르면 이들이 자신의 신상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들고 있던 서류에는 '○○연구원'이라고 적혀 있었으며, 여러 대학 학생들의 이름, 연락처가 서명처럼 받아져 있었다.

A씨는 "'K대에서도 이만큼 호응이 좋았다'며 동참을 권유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민주당 선거인단 모집이었다"며 "아무래도 대학생들이 선거인단에 대해 잘 모르니까 술수를 쓰며 속이고 다니는 것 같다. 교묘한 사기꾼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 여의도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B씨도 최근 민주당의 무리한 선거인단 모집활동에 곤욕을 치러야 했다.

자신이 새누리당 당원임을 분명히 했음에도, 해당 음식점을 방문한 한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캠프 관계자로부터 선거인단 가입을 강요받았다는 것이다.

B씨는 "내가 새누리당 후보에 반하는 '역선택'을 하면 어쩔 것인가"라며 선거인단 신청을 거절했지만, 캠프 관계자는 "어짜피 국민참여 경선이니까 상관 없다"고 막무가내로 강권했단다.

민주통합당의 모바일선거인단 모집 과정에 이처럼 일부 무리수가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모바일 선거인단은 민주당이 대선후보 당내 경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국민참여 확대를 위해 도입, 관심을 모으고 있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모바일 선거인단 가입 과정에서 일부 시민들은 선거인단 가입과 관련해 선거인단 모집인으로부터 사전에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와 설명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거나 사실상 거부를 해도 강권하다시피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무리수를 둔 '선거인단 늘리기'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지만 민주당측은 크게 문제 없다는 입장이다.

김승남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 간사는 "(대학생 투표참여 독려는) 근거없는 얘기다. 본인을 민주당이라고 밝히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설은 많지만 실제 검증, 추적해 보면 맞지 않는 것도 많다. 모바일투표를 신뢰하지 못하면 불신은 끝이 없다"고 해명했다.

박용진 대변인은 "당에서 관련 사실이 파악된 것이 없고 그런 일이 있을 수도 없다"며 "만일 그런 정도에 넘어가는 대학생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도 하지 않는다. 자유의지가 경선 참여의 기본"이라고 말했다.

다음달 4일 오후 9시 마감인 국민경선 선거인단 신청은 현재까지 97만5986명(대의원, 권리당원, 6·9전당대회시민선거인 포함)이 신청했다.

선거인단 신청은 19세 이상 일반당원 및 일반시민의 경우 인터넷 또는 콜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고, 전국대의원 및 권리당원(당비를 내는 진성당원)은 별도로 선거인단에 신청하지 않아도 선거권이 부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