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선방식 변경 놓고 민주당 지도부 '갈등'

2012-08-31     박대로 박성완 기자

 이른바 비 문재인 후보들이 민주통합당 대선후보경선 방식에 연일 불만을 드러내는 가운데 당 지도부가 31일 경선방식 변경 여부를 놓고 갈등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추미애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영등포 중앙당사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해 "모바일투표와 투표소투표는 연설 기회 없이 이뤄졌는데 약간 명의 대의원만 놓고 연설하는 것이 의미 없다는 지적이 있다"며 비 문재인 후보들의 불만 내용을 전했다.

이어 추 최고위원은 현행 방식이 만들어진 과정을 설명하고 정당성을 강조하며 사실상 경선방식 변경에 반대의사를 밝혔다.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장으로서 현행 방식을 설계한 추 최고위원은 이날 "사실 처음부터 민주당의 방향은 완전국민경선제를 통해 동원된 조직이 아닌 한 표를 행사하고 싶어 하는 불특정 다수의 국민에게 참여 기회를 드린다는 것이었다"며 "완전국민경선의 성공을 위해 모바일투표를 도입하게 됐고 경선 룰 설정 이전에 당 지도부와 후보도 호응했다"고 경선방식 확정 과정을 소개했다.

이어 "완전국민경선제인만큼 연설비중보다는 정책이나 소신, 모바일 감수성 등이 소구력이 있어서 연설의 비중이 낮아진 것"이라며 현행 경선방식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또 "애초 걱정스러웠던 제주에서 1·2위 격차가 40%였지만 울산에서 20%, 강원에서 8% 정도로 줄었고 충북에서는 5.8%로 줄었다. 주말에 있을 전주 경선에서는 지금까지 누적 집계보다 많은 무려 9만명 이상이 선거인단으로 참여했다"며 "역동성이 높아지고 관심과 흥미가 더 높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이해찬 대표도 이날 회의에서 "어제 경선에서 4명의 후보가 페어플레이를 하면서 좋은 정책 제시하는 경선이 진행됐다"며 "비전과 정책을 가지고 국민에게 평가받는 좋은 경선이 이뤄지도록 당에서도 지원하겠다"며 경선방식을 바꿀 생각이 없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러나 김한길 최고위원은 비 문재인 후보들을 달래기 위해 경선방식 변경도 고려해야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김 최고위원은 "경선에 나온 후보들이 당이 계파 이기주의나 패권주의에 빠져있다고 지적하는 것은 매우 아픈 일"이라며 안타까운 심경을 드러냈다.

이어 "이제는 대선 승리에 약이 되는 일이라면 우리는 무엇이든 망설여서는 안 된다. 대선 승리에 독이 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버릴 각오가 있어야한다"며 "약인 줄 알면서 취하지 않고 독인 줄 알면서도 버리지 못하면 12월에 우리는 땅을 치며 통곡할 수도 있다"고 경선 방식 변경 가능성을 열어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