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짝퉁 판매 명동 노점 고발
짝퉁 판매 노점 38명 고발, 짝퉁 3천4백여점 적발
중구는 야간과 휴일 등 총 11회에 걸쳐 명동 노점상들을 대상으로 짝퉁 단속을 실시해 짝퉁 판매 노점 38곳과 위조상품 3천434점을 적발해 고발했다. 적발된 위조상품은 정품으로 치면 무려 17억원에 달한다.
짝퉁 단속에는 주한유럽상공회의소 지정 지식재산권 조사업체인 (주)비피에스와 (사)무역관련지식재산권보호협회, 한국지식재산보호협회, 한국의류산업협회가 함께 참여했다.
이에 앞서 중구는 명동에 있는 총 272개 노점 중 먹거리를 제외한 234개 노점을 대상으로 지난 7월2일부터 한국지식재산보호협회와 합동으로 야간과 휴일 등 3회에 걸쳐 계도와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영업을 하지 않은 곳을 제외한 175개 노점 중 36%인 63개 노점에서 짝퉁을 판매하고 있었다. 5곳 노점중 2곳 이상이 짝퉁을 판매하는 셈이었다.
이번 단속에서 고발된 38곳중 4곳은 많은 양의 짝퉁을 노점 판매대에 진열하여 현장에서 경찰의 도움을 받아 1천30점, 정품으로 환산하면 7억원 상당의 물품을 전부 압수 조치하였다. 고발된 38곳 중 손수레 노점이 33건으로 가장 많았다. 고정가판대가 1곳이었으며, 일반상가에서 길가에 내 놓은 곳이 4곳이었다.
특히 일반상가를 제외한 34개 노점 중 적발된 노점 주인(28명)과 아르바이트생(6명) 모두 고발 조치되었다. 이들은 경찰 조사 결과에 따라 ‘상표법’제93조 규정에 따라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처분을 받게 된다.
적발된 도용상표는 루이비통이 전체 3천434점의 41%인 1천424점으로 가장 많았다. 샤넬이 933점(27%)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구찌 187점, 버버리 141점, 아디다스 94점 순이었다.
품목은 휴대폰 액세서리와 양말이 각각 699점(20%), 544점(16%)으로 전체의 36.2%를 차지했다. 이어 벨트 356점, 강아지 옷 328점, 열쇠고리 317점, 머리핀 248점, 귀걸이 203점이 뒤를 이었다. 명동 노점에서는 주로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는 액세서리와 잡화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단속이 진행될수록 노점 영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평일 오후 6시부터 8시 사이에는 적발 건수와 매대에 진열된 짝퉁 수량도 줄어들었다. 그러나 휴일과 평일 밤 8시부터 10시 사이에는 평균 3~4개 노점에서 짝퉁을 판매하고 매대에 진열된 수량도 다량으로 적발되었다.
최창식 구청장은 “세계적 관광명소인 명동에서 짝퉁을 판매하는 것은 명동은 물론 중구와 서울시, 대한민국의 이미지를 추락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라면서 “정기적으로 철저히 단속해 짝퉁을 판매하지 않도록 하고, 기업형 노점은 강력히 정비하는 등 명동에서 마음놓고 쇼핑할 수 있는 세계적 관광명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