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복지·서민경제 강화…서울시 하반기 조직개편

2012-08-05     김지은 기자

서울시는 행정기구 설치조례 및 정원조례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희망서울 시정운영을 위한 하반기 조직개편(안)을 마련했다고 5일 밝혔다.

박원순 시장의 시정운영방향인 투명행정과 시민의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는 복지정책, 경제적 약자를 포용하는 경제정책의 추진조직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시는 '희망서울 시정운영계획'의 성공적 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해 서민경제와 복지·도시·주거재생·문화관광 등을 중점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먼저 행정정보서비스 제공을 전담하는 부서로 '정보공개정책과'를 신설하고 산하기관·보조금·민간위탁 운영의 투명성 강화를 위해 '경영감사담당관'을, 시민참여감사(옴부즈만) 확대를 위해 민원해소담당관을 보강한다.

서민경제를 위해서는 '소상공인지원과'와 '노동정책과'를 신설하고 '생활경제과'를 '민생경제과'로 기능을 재편한다.

복지와 관련해서는 '인권담당관'을 신설하고 '장애인복지과'를 '장애인복지정책과'와 '장애인자립지원과'로 확대한다. 복지건강실 산하에 '동물복지과'를 새로 만들고 '광역친환경급식 통합지원센터'도 설치한다.

주택분야 조직도 보강한다. 임대주택공급의 추진동력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뉴타운대책의 추진을 위해 '공동주택과'를 신설하고 '공공관리과'를 '재생지원과'로 확대 개편한다. 도시농업과 도시안전망, 문화·관광분야의 조직도 강화하기로 했다.

반면 유시티추진담당관, 미래창안담당관 등 타부서와 기능이 중복되거나 상호 연계가 필요한 부서 11개는 유관부서로 기능을 통합·재배치해 효율성을 높인다.

신청사 완공 등 시설공사분야 시책사업 감소에 따라 도시기반시설본부의 '시책사업추진단'은 폐지하고 '동대문디자인파크부'와 '공공사업부'를 '공공시설부'로 축소·통합한다.

시는 이밖에 전문성 확보가 어려운 현행 순환보직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주요 실무직위에 사무관을 배치하는 '실무사무관제'를 도입한다고 보충했다.

이번 조직개편안은 시의회의 심의·의결(9월중)을 거쳐 조례 및 조례 시행규칙의 공포시기인 10월중 시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