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위기 용인시 '예산반납' 줄이어
용인시가 경전철사업으로 빚더미에 앉은 가운데 재정부담을 덜기 위해 각종 단체와 산하기관들이 행사 예산을 잇따라 반납하고 있다.
용인문화원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10월 열 예정이던 제26회 처인성문화제를 취소하고, 예산 9000만원 전액을 반납키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용인문화원 김장호 원장은 "긴축 재정에 돌입한 시 정책에 동참하기 위한 것"이라며 "어려운 시국을 타개하기 위해 시의 결연한 의지를 보여준 만큼 모든 용인시민들과 함께 이 난국을 슬기롭게 헤쳐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앞서 광복회 용인시지회도 광복절 행사를 취소, 예산 600만원을 시에 돌려줬다. 용인시지회는 '67주년 8.15 광복절 기념행사'를 지역에서 개최하지 않는 대신 경기도에서 주관하는 광복절 행사에 참여키로 했다.
또 지난 5월에는 이·통장연합회도 '이·통장 한마음체육대회' 행사를 취소하고 예산 3000만원을 반납했고, 기흥구 동백동 주민자치위원회와 수지구체육연합회도 동민의 날 행사를 취소하고 각각 9000만원을 반환했다.
이밖에도 기흥구 서농동과 구성동 등도 동참하는 등 동마다 진행되던 동민의 날 행사를 백지화하는 추세다.
공무원들은 이미 지난 2월부터 고통분담에 동참했다. 김학규 시장을 비롯해 5급 이상 공무원들은 평균 13만원(시장은 29만5000원)정도인 올 급여인상분(기본급의 3.8%)을 반납해 오고 있다.
또 일직 및 숙직 수당 40%감축과 초과근무수당 25% 감축, 시책업무추진비와 기관운영업무추진비도 10%씩 줄이기로 했다.
시의회도 의장(3110만원)과 부의장(1490만원), 상임위원장 4명(4800만원) 등의 연간 업무추진비를 30%씩 줄이고, 해외연수비(5490만원)를 절반으로 삭감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공무원들의 자구노력에 시민들의 예산 반납도 줄을 잇고 있다"며 "재정 위기 극복을 위해 자발적으로 동참한 시민들과 단체 등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용인경전철 민자사업자인 용인경전철㈜에 국제중재법원의 판결에 따라 공사비 5159억원과 운행을 못해 발생한 손실(기회비용) 2628억원 등 모두 7787억원을 지급해야 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