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실패 인정하라"…'文 vs 非文' 대립각
26일 열린 민주통합당 대선 예비경선(컷오프) 토론회에서는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문재인 후보와 이른바 '비(非) 문재인'의 대립각 구도가 반복됐다.
이날 오후 OBS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토론회에서 민주당 대선주자들은 문 후보를 겨냥해 참여정부 실패의 책임을 추궁하는 등 집중 공세를 펼쳤다.
손학규 후보는 "전날 광주 토론회에서 법인세 인하와 관련, 문 후보는 '여소야대 상황이라 어쩔 수 없었다'고 했다"며 "하지만 법인세 인하는 정부에서 주도한 측면이 강하다. 이런 인식을 하고 재벌 개혁을 제대로 할 수 있겠는가"라고 따졌다.
손 후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도 자서전에서 부동산 정책에 실패했다고 했는데 문 후보는 끝내 부동산 가격을 잡았다고 한다"며 "정책은 실패할 수 있으나 반성하고 넘어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는 "지금은 새누리당과 경쟁해야 하는 마당"이라며 "손 후보는 당시 재벌을 옹호했던 한나라당에 계셨다. 그렇게 (질의)하시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맞받았다.
박준영 후보는 문 후보에게 "참여정부의 실패를 냉엄하게 분석하고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며 "늘 성공한 정부라고 주장하는데, 역사를 보는 태도가 잘못됐다"고 비난했다.
문 후보는 "참여정부가 정권 재창출에 실패한 것은 마음이 아프다"면서도 "선거에서 졌다고 해서 그 정부가 실패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답했다.
김영환 후보는 참여정부 시절 대북송금 특검 도입을 문제 삼았다.
김 후보는 "대북송금 특검 도입으로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이 분당한 것"이라며 "문 후보가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있었을 때 '특검 결과에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불법이 드러나면 처벌할 것'이라고 발언했다"며 해명을 요청했다.
이에 문 후보는 "사실이 아니다"고 답했다. 김 후보의 지적이 이어지자, "그렇지 않다고 말하지 않았는가. 대북송금 특검은 제가 사과하고 말고 할 일은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밖에도 이날 토론회에서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연대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문 후보는 "안 원장과의 연대를 꼭 이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역설했다. 정세균 후보는 "연대가 차선"이라고 답했고, 김정길 후보는 "안 원장이 민주당 후보에게 (단일화를) 양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해 후보 간 시각차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