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굶고 냉방서 자는 이 없도록'…서울시, 희망온돌프로젝트 '스타트'
서울시가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아니지만 실제 생활은 수급자 수준에 머물고 있는 이들에게 민관이 협력해 복지혜택이 골고루 돌아갈 수 있는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희망온돌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공식업무 시작 이래 "서울 하늘 아래, 밥 굶는 사람·냉방에서 자는 사람이 없도록 하겠다"고 공언한 것의 첫걸음인 셈이다.
따뜻한 온기가 널리 퍼지는 우리 고유의 온돌처럼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에게 복지혜택이 골고루 돌아가게 하겠다는 박 시장의 의지가 담겼다.
기본적으로 이 프로젝트는 민관이 협력해 틈새계층을 발굴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공공 및 민간자원을 확보해 즉각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숭실대학교 정무성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는 '희망온돌 시민기획위원회' 를 구성하고 지난 1차 회의를 개최해 프로젝트의 골격을 짰다.
시민기획위원회의 위원장은 서울시 이정관 복지건강본부장과 함께 희망온돌프로젝트추진본부의 공동 본부장을 맡았다.
1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기존의 학계 전문가 중심이 아닌 임대아파트 관리소장·달동네마을 통장·반값고시원추진운동본부대표 등 현장 활동가 중심으로 구성됐다.
모든 취약계층의 목소리가 반영되도록 분야별 균형을 고려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서울시 전 부서와 자치구는 앞으로 책임지역을 정해 해당 지역의 복지시설이나 풀뿌리자생단체, 자원봉사단체 등과 함께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 겨울철 취약계층을 찾아내고 이들에게 필요한 복지혜택을 파악한다.
서울시는 11월말까지 현재 정확한 자료가 없는 지역 봉사조직, 종교 봉사모임 등 풀뿌리 자생조직을 파악해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지역별 공동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같은 조사를 통해 발굴된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즉시 필요욕구를 확인하고 공공지원과 민간연계지원 방법을 총동원,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지원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게 된다.
서울시는 이와함께 일반시민이 주변에서 어려움에 처한 이웃을 발견하면 이를 즉시 신고하고 즉각적으로 지원하며 지원 결과까지 안내하는 온라인 시스템(홈페이지 및 SNS 활용)을 구축하고 있다.
서울시는 일단 특별 예산 확보를 통해 틈새계층 특별지원을 확대하고 혹한기에 대비 난방비, 전기요금 긴급 지원 등 제도적 공공지원 확대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지원에 필요한 민간자원은 모금단체인 서울시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중심이 돼 여타의 단체 등과 함께 나눔 활동을 전개, 확보할 예정이다.
각 지역의 풀뿌리 봉사단체, 종교 봉사모임 등 각종 봉사모임과 서울 디딤돌 사업 참여업체 및 일반시민의 참여를 통해 금품, 물품 이외의 재능 나눔 및 자원봉사 인력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확보한 민간자원을 즉시 필요한 대상자에 제공할 수 있도록, 기부물품과 자원봉사자를 실은 '희망마차'도 운영한다.
희망마차는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에서 운영하는 푸드마켓 차량(26대)를 이용하고, 30일 발대식과 함께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출발해 2~3개월 동안 서울시 취약지역 곳곳을 방문하면서 시민이 기부한 물품을 필요로 하는 곳에 즉시 지원하게 된다.
희망온돌 프로젝트의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해 누구나 클릭 한 번으로 서울시 각 지역의 취약계층 현황 및 필요욕구와 풀뿌리 자생조직 등 욕구해결 기관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희망온돌 커뮤니티 맵'을 구축, 운영한다.
발굴된 대상에 대한 지원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12월에는 박 시장과 서울시 공무원들이 담당지역 현장에 직접 나가서 투입된 자원이 현장에서 제대로 지원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자원봉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한편 박 시장은 성탄절을 전후해 직접 시민들의 삶의 현장을 찾아가 48시간을 함께하는 '48시간 현장여행'을 준비하는 등 취약계층 복지에 대한 전시민적 관심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정관 서울시 복지건강본부장은 "희망온돌프로젝트의 최종목표는 민간 자생력과 네트워킹을 통해 지역복지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단기간 동안 서울시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그 경험을 제도화한다면, 향후에는 해당지역에서 발생하는 복지문제는 해당지역에서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자생적 공동체의 복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