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활동종료 닷새 앞두고 추가 특위위원 선정 논란
사실상 연구활동을 마친 경기도의회 무상급식혁신학교추진특별위원회(무상급식특위)가 특정 도의원을 위원으로 추가 선임해 선심성 논란이 일고 있다.
도의회는 지난 1일 제268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올해 4·11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염종현 의원(민·부천1)을 무상급식특위 위원으로 추가 선임했다.
무상급식특위는 염 의원의 특위 위원 추가 선임을 요구했고, 민주당 대표 승인을 거쳐 본회의에 '결의안'이 상정, 최종 의결됐다. 이에 따라 무상급식특위 위원은 17명에서 18명으로 늘었다.
그러나 모든 연구활동을 마친 상황에서 추가 위원이 선임되면서 특정 의원 '스펙 쌓아주기'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무상급식특위는 5일 연구 결과 보고회를 거쳐 7일 본회의에서 연구보고서 채택을 앞두고 있다. 특위 위원 활동기간이 이달말까지지만, 사실상 연구보고서 채택이 완료되면 위원 활동도 끝난다. 때문에 연구보고서에 '이름 끼워넣기'를 해줬다는 의혹이다.
민주당의 한 도의원은 "특위 위원은 물론이고, 도의원으로 의정활동을 펼친지 두 달도 채 되지 않는다"며 "연구보고서에 이름 석자를 넣어주기 위한 의도로, 선심성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비난했다.
이에 무상급식특위는 '대꾸할 가치도 없는 힐난'이라고 일축했다. 염 의원의 경우 민주당 경기도당 무상급식추진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기도 교육자치협의회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무상급식 및 교육 분야에서 꾸준히 활동해 자격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최우규 무상급식특위원장은 "염 의원은 민주당의 무상급식정책을 만들고, 펴온 인물로 도의원이 되기 전부터 특위활동에 많은 자문을 해줬다"며 "특위 위원 활동이 대단한 '스펙'으로 보기도 어렵다"고 반박했다.
무상급식특위는 모든 학생들이 경제적 차별없는 전면 무상급식과 누구든지 어디서나 만족하는 교육을 위한 혁신학교 육성에 필요한 예산확보와 연구를 위해 2010년 8월 신설됐다. 이후 특위 활동기간을 1년여 연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