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불안 심리 겪는 국민 외면 정치권
권력 위한 야합과 이념 갈등 더 이상 용납 안돼
김대중 정권 탄생 핵심인 정당 결사체 연합.
정몽준이 만든 노무현 단일화 신화.
이들은 우리 정치 변화의 대표적 사례들이다.
대선 승리를 위해선 적도 아군도 필요치 않다는 표본이 됐다.
이념과 정치 노선이 달라도 권력을 위해선 상관없다는 국민적 폭력에 가까웠다.
대선을 위해선 물불 안 가리는 무모함도 좋다는 꼼수였다.
그만큼 대선이 주는 권력 유혹의 힘이 어떠하다는 걸 느끼게 한다.
권력을 쥔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고, 잃고 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책임감 없는 행위를 정치라 여기는 집단이라고 정치권이 욕을 먹어도 당연했던 것이다.
이런 발상을 지닌 정치인들에게 국민들이 안중에 있을 수 없다.
오로지 살기 위해선 나만 있으면 된다는 인식 팽배다.
정당 결사체 연합, 연대, 합당 등은 그래서 아직도 진행형이다.
개별 정당 목적이 가진 진면목과는 근본적으로 다르지만 생존의 법칙에 충실한 것도 정치라 떠드는 그들만의 목소리다.
정권 교체라는 틀을 가능하게 만든 원인은 야합과 이념 논쟁이 아닌 경제와 지역주의 타파로 가능했다.
IMF라는 초유 사태로 경제 위기에 국민들은 강한 반사적인 반응을 보였다.
부익부, 빈익빈이라는 극대화 된 환경 변화에 국민들은 엄청난 두려움에 떨었다.
이를 타개 할 구원투수를 통해 국민들은 경제 안정을 추구하고 선택했던 것이다.
그런 저변의 이유로 정권 교체에 대한 희망이라는 대반전 카드도 나왔다.
또 군사정권을 통해 추구했던 안정적인 산업 경제 성장 토대로 지역 간 균형은 급속하게 무너졌다.
여기에 지방자치 시대가 열린 것도 이런 구도를 깨는데 일조했다.
지역주의의 분점 효과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해소됐다.
그런 지역주의가 사라진 부분의 대타로 나선 것이 정당 간 연합, 연대, 합당으로 바뀌게 된 계기였다.
문제는 이 틈을 타고 등장한 이념 논쟁이 우리 사회를 또 다른 갈등으로 몰아가고 있다.
이념 논쟁은 한 동안 정치 화두에 끼지도 못했다.
그러던 것이 정치권력 쟁취라는 대안으로 새롭게 포장돼 요즘 몸집을 불리고 있다.
이것은 한국 정치의 오랜 병폐이자, 정치 후진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치부다.
한마디로 경제 불안 심리 겪는 국민들을 외면하고, 무시하는 정치권 처사가 아닐 수 없다.
대한민국은 헌법에 나와 있는 엄연한 민주주의 국가다.
이념 논란은 불필요한 일이다.
국민은 국방의 의무를 준수해야 하며, 또 국민의 안전을 위해선 국방력이 최우선 순위다.
그럼에도 불구 정치권과 그 주변에서 양면 칼날 같은 것을 놓지 않으려 하는 이유는 오직 하나다.
권력에 눈 먼 주구가 되고 싶고, 정치 안정화를 통해 국민 만족도를 줄 수 없다는 부족한 모습을 감추려 탈선하는 자기 외침일 것이다.
특히 이념 논쟁으로 발생 할 수 있는 선동주의적인 한방이라는 뜨거운 감자에 전세 역전 노림수까지라는 착각에 빠질게 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그러면서 이들이 바라는 것은 이념 논란에 감춰진 정치 권력화 세습 위한 무서운 이기주의 발휘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안 할 수 없다.
이제라도 정치권은 불필요한 이념 논쟁에서 벗어나 경제 안정을 원하는 국민적 욕구에 전력투구해야 한다.
경제 위기를 권력 잡는 도구로 쓰지 말고, 권력 쟁취를 위한 이념이 가미 된 국민적 혼란을 가중시키지 말고 국가와 국민을 위한 위정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 경제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한 국가 안위가 담긴 백년대계를 위해 정치권은 여, 야를 떠나 혼신의 힘을 쏟아내도 부족하다.
이념 논쟁이 국가를 국민을 수호 할 수 없고, 국가 지탱의 원천인 경제 안정화를 이룩해 낼 수 없다.
권력 야합과 이념 논쟁을 끝내고 경제 안정을 만든 연후에 대선에서 권력을 부여 해 줄 수 있는 국민에게 판가름을 해달라고 정치권은 해야 마땅하다.
교묘한 선동주의로 국민 다수를 볼모로 하는 불안감 조성을 즐겨서는 정치 선진화는 정말 요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