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은 앞으로의 대세"

2012-05-23     김동현 기자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은 23일 완전국민참여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앞으로의 대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 "개인적으로 볼 때 오픈프라이머리를 하더라도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충분히 이긴다. 흥행을 억지로 만든다는 차원해서 도입해도 문제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의원은 "지난 2007년 대선 경선 당시에는 박 전 위원장과 이명박 후보간 격차가 크지 않았다"며 "지금은 격차가 굉장히 크다. 그런 상태에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양보 못 하겠다는 것은 너무 여유가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행 경선 룰을 이용해 경선이 치러질 경우 "민주통합당과 비교해볼 때 흥행 가능성이 전혀 없다"며 "현재 민주당 지도부 경선이 국민들로부터 관심을 끌고 있다. 정치도 흥행이 중요한데 이대로 가다가는 새누리당이 불리하다"고 혹평했다.

이어 "억지로라도 흥행을 만들어야 하는데 '나 정해졌으니까 그대로 가자'식으로 간다면 상황이 굉장히 어렵다"며 "박 전 위원장의 지지율이 굉장히 앞서간다고 하지만 1대 1 지지율을 볼 때 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앞으로도 질 가능성이 크다. 투표율이 지난 총선 54%에서 70%까지 올라가면 젊은 층 투표율이 더 올라갈 수 있다"며 "(대선 경선에서) 흥행을 억지로라도 만들어야 한다. 정해진대로 가자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범 보수 연대에 대해 "범 보수 연대를 하는 것이 안하는 것보다는 낫다"면서도 "보수에 대한 젊은 층의 거부감이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털어내는 보수 혁신이 필요하다. 보수 연합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연대 가능성에 대해 "안 원장의 자라온 환경이나 기본적인 생각을 볼 때 새누리당과 다를 바는 없다"면서도 "지금까지 안 원장의 언행을 고려할 때 새누리당과 손잡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제가 안 원장이라도 그렇게 안할 것. 이득이 없는데 왜 그렇게 하겠는가"라며 반문했다.

통합진보당 부정선거 파문에 대해서는 "법적인 문제는 사법기관에서 판단·처리하는 것이 맞다"며 "국회의원의 등원 문제는 국민이 판단하는 것이 맞다. 검찰에서 칼을 빼든 만큼 결과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