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철도사업 정부 투자 매년 급감…지역경제 '먹구름'
경기도내 철도사업에 대한 정부 투자가 매년 줄고 있어 지역경제에 적잖은 타격이 예상된다.
8일 도에 따르면 정부의 철도사업비는 지난해 3조214억원, 올해 3조1732억원 등으로 매년 늘고 있으나 도에 대한 지원 규모는 오히려 줄고 있다.
올해 국비 지원액을 보면 지난해 1조4174억원에서 1조3622억원으로 4%(552억원)나 급감했다.
특히 2015년이면 지난해 절반 수준인 6854억원에 그칠 것으로 도는 내다봤다.
국비가 줄어드는 것은 도내에서 진행 중인 철도사업이 완공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중앙선과 경춘선은 내년에, 수도권고속철도 공사는 2014년이면 끝난다.
수도권 집중을 이유로 정부가 도내 신규 철도사업에 대한 투자에 소극적인 것도 한 가지 원인이다.
정부는 내년 예산안을 짜면서 대곡~소사 복선전철 사업비 400억원과 별내선 복선전철 70억원, 신분당선 연장(광교~호매실) 복선전철 20억원, 진접선 복선전철 10억원 등 도가 설계 또는 계획 중인 사업의 국비 신청액을 모두 삭감했다.
국비 감소는 교통난 해소를 위해 철도인프라 확충 지연은 물론, 건설경기 위축을 가져올 것이라는 게 도의 염려다.
도내 건설사의 철도사업 수주액은 성남~여주선 노반공사 7920억원 가운데 1171억원(15%), 오리~수원 노반공사 8600억원 가운데 2600억원(30%) 등 사업 당 수천억원에 이른다.
도는 철도사업 투자가 1000억원 감소하면 취업자 1430명과 생산유발효과 2078억원이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도는 신안산선(여의도~안산 중앙) 등 설계중인 사업의 2014년 이내 착공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과 월곶~판교선, 여주~원주선 등의 사업도 최대한 앞당기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설계, 계획 중인 철도사업의 선제적 대응으로 신규사업을 조기착공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