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문재인 '공동정부론', 현 시점에서 옳지 않다"

2012-05-17     박성완 기자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민주통합당 우상호 후보는 17일 문재인 상임고문이 제시한 서울대 안철수 융합과학기술원장과의 '공동정부론'과 관련, "'내가 대통령이 되고 네가 국무총리가 되고', 이런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고 비판했다.

우 후보는 이날 오전 SBS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해 "선택권은 국민들에게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선 후보 경선이 끝난 이후, 유력한 대선 주자들의 역량을 집결시키기 위한 공동정부 구상은 그 자체로는 나쁘지 않다"면서도 "현 시점에서는 국민이 봤을 때 이해찬 상임고문과 박지원 원내대표의 담합처럼 온당치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각각 나눠맡기로 해 논란을 일으킨 '이해찬·박지원 합의'와 관련해서는 "계파의 수장이 손을 잡는 방식으로 계파정치를 해결한다는 것은 오히려 낡은 방식"이라며 "많은 당원과 국민이 참여할 수 있게끔 계파의 문을 여는 것이 진정한 계파 정치의 극복"이라고 강조했다.

우 후보와 더불어 '무계파'를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는 김한길 후보에 대해서는 "젊은 층과 호흡하고, 당을 역동적으로 통합시켜 끌고나가는 기동성과 호소력 면에서는 저 보다는 좀 떨어지지 않겠느냐"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비노(비노무현)진영 후보 간 연대 가능성과 관련, 우 후보는 "계파 간 자리 나누기 식 정치를 비판해 왔기에, 이해찬 후보와 맞서 다른 후보들이 공동전선을 펴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자신의 정치적 소견을 내놓고, 대의원과 국민의 평가를 받는 자율경쟁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우 후보는 또 "국민이 참여한 가운데 가장 역동적인 대선판을 만들어, 축제처럼 대선 후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대선 후보 경선방식으로 범야권 완전국민참여경선을 제안했다.

아울러 '비례대표 후보 경선 부정의혹'에 휩싸인 통합진보당과의 대선 연대에 대해서는 "당 내부의 계파 싸움을 비롯해 국민을 위한 방향으로 환골탈태해야 한다"며 "범야권 단일후보의 대선 승리로 민생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약속은 지켜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