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15분간 5G 자율주행 시연
일반도로에서 원격 호출 등 핵심기술 6가지 선봬
LG유플러스가 일반도로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자율주행차를 원격으로 부르고 무단횡단하는 이를 감지해 피하는 등의 자율주행기술을 생중계했다.
LG유플러스는 10일 마곡에 위치한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G 차량‧사물 간 통신(V2X) 기반의 일반도로 자율협력주행기술을 이같이 시연했다.
5G-V2X(Vehicle to Everything)는 5G 기반의 차량무선통신으로 자율주행차량이 다른 차량을 포함한 모바일 기기, 교통 인프라 등 다른 사물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이다.
5G-V2X를 탑재한 상용차가 자율주행으로 통제되지 않은 일반도로를 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LG유플러스는 강조했다.
그간 업계에서는 차량 센서를 통한 자율주행 기술 시연만 진행하거나, 5G-V2X 기반의 셔틀버스 솔루션만 공개해 왔다.
특히‚ 이번 시연은 출시를 앞둔 LG전자의 5G-V2X 통신단말과 마곡 일대에 구축된 LG유플러스의 5G 통신망 및 자율협력주행 플랫폼으로 더욱 완성도를 높였다.
이날 LG유플러스가 공개한 5G-V2X 자율주행 시연은 현대차의 상용모델 ‘제네시스 G80’을 기반으로 진행됐다. 이 자율주행차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일대 일반도로 2.5km 구간을 오전 11시 8분부터 15분간 주행했다.
이 시연을 통해 LG유플러스가 선보인 핵심 기술은 ▲자율주행차 원격 호출 ▲선행차량 영상 전송 ▲무단횡단 보행자 감지 ▲긴급차량 접근 알림 ▲비가시영역 ‘지오펜싱’(지리적 울타리) 대응 ▲다이내믹 맵 기반 사고현장 회피 등 총 6개다.
이날 가장 주목을 받은 시연은 ‘원격 호출’이었다.
이날 시연자가 오전 11시 8분께 스마트폰 앱으로 자율주행차 호출하자 약 1분만에 시연자의 탑승 지점으로 자율주행차가 도착했다.
자율주행이 일상화되면 고객들은 이처럼 앱을 통해 자동차를 호출, 주차장까지 내려가 탑승한 뒤 다시 올라오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고 LG유플러스는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선행차량의 전방 상황을 후방차량에게 공유하는 5G 맥 기술도 선보였다.
시연에서 자율주행차 내부 화면을 통해 선행차량 전방에 스쿨버스가 정차한 상황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차량 급감속이나 급정거 같은 돌발상황을 전달해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찰나에 벌어지는 상황에 대처하는 자율주행 시연도 이어졌다.
주변 지능형 CCTV로 보행자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다이내믹 맵을 통해 사각지대가 조금이라도 발생할 시 스스로 주행속도를 낮추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자율주행차는 횡단보도에서 신호와 상관없이 길을 건너려는 보행자를 사전에 감지, 즉시 정차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율주행차의 카메라 센서는 통행신호인 녹색불을 확인했지만, 주변 지능형 CCTV로부터 받은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로 사고를 선제 대응할 수 있었다.
아울러 갑작스럽게 구급차 한 대가 접근해 오자 해당 차량이 먼저 갈 수 있도록 차선 변경 및 서행하는 것도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시연을 기반으로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일대를 5G-V2X 자율주행 기술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