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권주자 '오픈프라이머리' 찬성 2 vs 반대 7

2012-05-09     김형섭 기자

 새누리당 대표 및 최고위원 경선에 출마한 9명의 후보들이 8일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놓고 치열한 토론을 벌였다.

비박계 대선주자들이 도입을 주장하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범친박계로 분류되는 7명의 후보들은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낸 반면 친이계 심재철, 원유철 의원은 검토 필요성을 강조해 입장차를 드러냈다.

친박계 정우택 당선자는 "후보자의 유불리에 따라 룰을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일종의 정치공세"라며 "미국도 10여개 주에서만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할 뿐 모든 주가 채택한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영남권 친박계인 유기준 의원은 "지금 새누리당의 경선룰도 국민선거인단 30%, 여론조사 20% 등 국민여론을 일정부분 반영하는 구조로 돼 있다"며 "진성당원이 발언권을 가져야 하는데 100% 국민여론을 반영하면 정당의 기본 근간을 흔들 소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가장 유력한 당 대표로 거론되는 황우여 원내대표도 "2007년 당시 양대 후보간에 경선룰을 갖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다 겨우 봉합이 됐다. 검토에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고 최소 한달 이상 걸릴텐데 과연 현실성이 있겠느냐"며 "오픈프라이머리의 이상보다는 현실에 발을 담가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측근인 이혜훈 의원은 역선택의 문제를 거론하며 "미국에서 2008년 공화당 대선 경선시 당원 투표에서는 꼴찌를 한 매케인 후보가 1등으로 당선된 사례가 있다. 전문가들이 분석해 보니 민주당 지지자들이 대거 몰려와 약체 후보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친박계 홍문종 당선자 역시 "억지스럽다.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코자 했다면 최소 1년전에 주장했어야 한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 친이계 원 의원은 "19대 총선 결과에서 약점으로 지적된 수도권과 젊은층의 민심을 확보하고 보다 많은 국민들의 참여로 당의 외연을 확장하는데 있어 국민참여 비율을 높이는 것도 나쁘지 않다"며 "대선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라면 경선룰을 새로 정하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역시 친이계인 심 의원도 "일반국민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를 보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찬성 비율이 53%, 현재 룰대로 하자는 응답이 30%였다"며 "무조건 안된다고 할게 아니라 대선승리를 위한 방법론의 하나로 검토해 볼 필요는 있지 않냐"고 강조했다.

주요 이슈에 대한 찬반 의사표명에서는 '이명박 정부의 지난 4년, 이만하면 성공한 정권'이라는 평가에 범친박계는 7명 모두 반대를, 친이계인 원 의원은 찬성을 나타냈으며 심 의원은 찬성과 반대 모두 선택했다.

원 의원은 "(MB 정부가) 다 실패한 것은 아니다. 경제위기 극복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해야한다"며 "국민소통에 문제점이 있던 것은 사실이지만 비판을 하더라도 긍정적 측면은 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대선후보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영입을 시도해야 하냐'는 질문에는 황 원내대표, 이 의원, 홍 당선자, 김경안 전북익산당협위원장 등 4명이 반대의사를 나타냈으며 원 의원, 심 의원, 정 당선자, 김태흠 당선자, 유 의원 등 5명은 찬성했다.

심 의원은 "대선을 치르는 것은 새누리당이 정권을 재창출해 정체성 있게 국가를 운영하자는 것"이라며 "그렇다면 반드시 이길 수 있는 필승 카드가 누구냐. 영입시도 자체를 하지 않는 것보다는 본인 생각을 타진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반대의사를 나타낸 이 의원은 "후보영입은 본인의 출마 의사가 있을 때 가능하다"며 "지금 안 원장은 정치 참여 의사를 전혀 밝히지 않고 있다. 영입을 이야기하기 전에 본인의 출마 의사 정리가 순서다"라고 강조했다.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경선 부정·부실사태와 관련해서는 후보 전원이 '지도부는 물론 비례대표까지 모두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난 7일 첫 토론회에서와 마찬가지로 유력한 당권주자로 꼽히는 황 후보를 향해 질문이 집중됐다.

또 전반적으로 부드러운 분위기 속에서 토론이 진행됐지만 친이계 원 의원과 친박계 이 의원은 군공항이전특별법 처리를 놓고 다소 감정이 격양된 모습을 보였다.

이 의원은 지명토론에서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인 원 의원이 2월 국회에서 군공항특별법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해야 한다며 상정하지 않아 무산됐다. 공청회를 거치지 않기로 의결한 분이 일주일만에 결정을 뒤집은 이유가 뭐냐"며 "일각에서는 청와대 오더를 받았다는 주장이 있다. 당을 청와대에 따라 끌고 갈 수 있는 것은 굉장한 위험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에 원 의원은 강경한 어조로 "군공항이전법은 공청회를 거치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겠다는 판단하에 여야 간사간에 합의한 것"이라며 "분명히 말씀드리는데 양심과 소신에 따르지 않고 청와대 오더로 한 것이라면 후보직을 사퇴하겠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