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집값 한 달 새 최고가 경신

매물‧추가 매수세 없어 상승세 이어지기 힘들어

2019-09-24     안원찬 기자
▲ 아파트 전세·매매가격지수 변동률.<뉴시스>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서울 강남 등 일부 지역 아파트들을 중심으로 기존 매매가격을 뛰어넘는 최고가 경신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도 12주째 상승하면서 주택시장에서는 잇따른 최고가 경신이 집값 상승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근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에서 최고점을 뚫은 매매계약이 이뤄지고 있다.

 

2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와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강남구 래미안대치팰리스(전용면적84㎡)는 지난달 27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기존 신고가는 지난 7월 기준 26억원으로, 한 달 새 1억7000만원이 오르면서 신고가를 경신했다.

 

강북 지역 아파트 최고가 경신도 잇따랐다. 용산구 용산e편한세상(전용 84.21㎡)는 지난달 14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이전 최고가보다 7000만원 올랐다.

 

주택시장에선 분양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공급 위축으로 인한 집값 상승 기대심리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두고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 간 이견으로 가중된 불확실성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지난 1일 “10월에 주택법 시행령이 발효되더라도 민간 분양가 상한제 작동 시기는 국토부가 독자적으로 판단할 문제가 아니고 제가 주재하는 관계장관 회의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홍 부총리의 이같은 발언으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를 주도해온 재건축 단지 가격 상승세와 재건축 투기 수요를 차단하기 위한 국토부의 행보가 다소 무색해졌다. 또한 부처 간 혼선으로 분양가 상한제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재건축 아파트 상승세를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선 아파트 매매가격 최고가 경신이 집값 상승의 불씨가 될 수 있다고 해석하지만, 일부 지역에 국한된 사례를 두고 주택시장의 전체 흐름을 판단하기에는 무리라는 게 중론이다.

 

무엇보다 집값 상승의 뚜렷한 징후가 없어서다.

 

집값 상승 신호인 추가 매수세가 미비하다. 매도자 우위 시장에서 거래량 증가세가 없는 만큼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거래가 워낙 부진했던 데 따른 일시적 ‘기저효과’라는 얘기다.

 

강남3구와 마용성 등 서울 주요 지역 8월 아파트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크게 줄었다.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강남구는 지난해 8월 733건이 거래됐지만, 올해 8월에는 101건이 거래됐다. 송파구도 지난해 8월 948건에서 올해 104건으로, 서초구도 599건에서 75건으로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내놓은 고강도 규제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주택시장의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권대중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주택시장에 매물이 없고, 거래량도 줄었다. 매도자 우위 시장에서 매도자가 원하는 호가에 맞춰 매매가격이 형성되면서 최고가를 경신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