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2곳 중 1곳 “채용 시 학벌 영향 미쳐”
영향 미치는 이유 ‘노력 성과’ 51.9%
지원자의 출신학교를 묻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오히려 기업 2곳 중 1곳은 채용 평가 시 학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337개사를 대상으로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48.1%가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는 ‘지원자가 노력한 성과여서’(51.9%,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학벌에 따른 역량 차이가 있어서’(43.2%), ‘객관성이 있는 조건이어서’(37.7%), ‘기존에 채용 시 만족도가 높아서’(11.7%), ‘활용 가능한 인맥이 많아서’(9.3%) 등을 들었다.
가장 선호하는 지원자의 출신 학교로는 ‘서울소재 4년제 대학’(45.7%)을 꼽았다.
이어 ‘지방 거점 국립대학’(24.1%), ‘상위 10위권내 명문대학’(19.1%), ‘일명 스카이 대학(서울‧연세‧고려대)(3.1%)’ 등의 순이었다.
선호하는 학교 출신 지원자에 대해서는 채용 과정 중 ‘지원자를 더 꼼꼼히 평가한다’는 응답이 66.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으며, ‘전형 진행 시 우선순위로 선정’(20.4%), ‘가산점 부여’(18.5%) 등의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채용 평가 비중에서는 평균 약 32%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이들 기업 10곳 중 2곳(21%)은 다른 자격조건이 모자라도 학벌이 우수해 채용한 직원이 있다고 밝혔다.
반면, 학벌이 채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들(175개사)은 그 이유로 압도적으로 많은 90.9%(복수응답)가 ‘업무 능력과 크게 연관이 없어서’를 들었다.
이밖에 ‘기존 채용 시 만족도가 낮아서’(10.9%), ‘경영진의 방침이어서’(5.1%), ‘기존 직원들에게 위화감을 줄 수 있어서’(4.6%) 등의 답변이 있었다.
일선 기업들이 직원들의 학벌과 업무능력 간 상관관계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도 조사했다.
전체 기업의 59.3%는 근무 중인 직원들의 ‘학벌과 업무 능력 간 상관관계가 없다’고 밝혔으며, 24.6%는 ‘학벌이 좋으면 업무 능력도 뛰어나다’고 답했다. 16%는 인사관리 프로세스 상 직원들의 학벌을 상세하게 파악하고 있지 않았다.
특히,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기업의 경우도 ‘상관관계가 있다’(45.7%)와 ‘상관관계가 없다’(43.8%)는 비율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