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재벌총수‚ 지분 0.9%으로 그룹 지배
공정위 ‘2019년 대기업집단 주식소유현황’ 발표
10대 그룹의 총수들이 1%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털끝’ 지분으로 전체 그룹을 지배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수년간 추이를 보면, 총수일가가 직접 보유한 지분은 점차 낮아졌지만 대신 계열사를 통한 지분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전체 그룹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특히 금융보험사‧공익법인‧해외계열사 등을 활용한 우회적 계열출자 사례는 더 늘어난 것으로도 분석됐다.
공정거래위원회가 5일 발표한 ‘2019년 대기업집단 주식소유현황’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그룹 51개의 내부지분율은 57.5%로 전년보다 0.4%포인트 감소했다.
내부지분율이란 총수가 가진 지분과 총수 관련자(친족, 임원, 계열회사, 비영리법인)가 보유한 지분의 총합이다.
내부지분율은 그룹 지배력을 보여준다. 이 중에서 총수일가의 지분율은 3.9%에 불과했다. 총수는 1.9%, 총수 2세는 0.8%, 기타 친족은 1.2%를 평균적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총수일가가 4%도 안 되는 지분으로 계열사 출자 등을 활용해서 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인 셈이다.
특히 상위 10대 그룹만 놓고보면 총수의 지분은 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년간의 흐름을 보면, 총수가 직접 보유한 지분은 2000년 1.1%에서 올해 0.9%까지 유사하거나 소폭 감소했다. 반면 계열사가 보유한 지분은 이 기간 44.9%에서 54.3%로 상승했다.
여기에 힘입어 총수일가의 전체 내부지분율 역시 44.9%에서 56.9%로 크게 상승했다.
또한 지난해에 비해 공익법인과 해외계열사, 금융보험사가 출자한 비금융보험사 수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회출자를 활용한 총수일가의 지배력 확대 우려가 나온다는 분석이다.
금융보험사가 출자한 비금융계열사 수는 지난해 32개에서 41개로 증가했고, 공익법인이 출자한 계열사 수는 122개에서 124개로, 해외계열사가 출자한 국내 계열사 수도 44개에서 47개로 일제히 증가세를 보였다.
36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69개 공익법인이 보유한 계열사 평균지분율은 1.39%로, 5년 전 0.83%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가 있는 51개 기업집단 중에서 28곳이 197개 금융‧보험사를 갖고 있었다. 거꾸로 17개 집단 소속 79개 금융‧보험사는 계열사 180곳에 출자하고 있었다. 이들이 계열사들에 대해 보유한 지분율은 32%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