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미래형 개인비행체 개발 나서
산업계와 학계·연구계 참여 예정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드론택시 등 미래형 개인비행체(PAV) 개발과 교통산업 활성화를 위한 민관 합동 발전전략협의체를 구축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협의체에는 자동차, 항공, 배터리, 전기·전자, 교통서비스, 정비·인프라 등 산업계와 학계, 연구계가 참여한다.
미래형 개인비행체(PAV)는 모터, 배터리 등 전기동력을 사용해 도심 상공에서 사람·화물을 운송하는 3차원 모빌리티 수단이다.
항공, 자동차,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기술과 산업을 융합해 혁신적인 교통수단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부가가치 창출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산업부와 국토부는 핵심 연구개발(R&D) 과제인 ‘자율비행 개인항공기 개발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이 사업에서 산업부는 235억원을 들여 분산전기추진 등 핵심기술과 속도 200㎞/h 이상급 시제기 개발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안전한 항공 운항을 위한 기체 인증 기술, 자동비행제어시스템, 안전운항체계 등을 개발하는 데 213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두 부처는 국장급 운영위원회 및 과장급 실무분과 운영, 수시 협조체계 구축, 공동행사 개최 등을 통해 내실있는 R&D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민관 합동 발전전략협의체를 통해 내년 PAV 산업 발전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산업 측면에서는 핵심기술개발 및 국제공동개발 지원,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전문인력 양성, 성능·품질 향상지원, 국제표준, PAV 보급촉진, 수출 산업화, 파생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 등을 검토한다.
교통 측면에서 택시·택배 등 드론교통서비스 활성화, 전용공역(Drone Highway) 확보, 플랫폼·보험·MRO·인프라 등 부대산업 육성, 인증체계 수립, 관제기술 확보 등을 살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