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비중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하루 2.5조 긁어
보편화되면서 소액화 현상 뚜렷해져
올해 상반기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등 지급카드 결제금액이 하루 평균 2조5000억원에 육박했다.
현금 대신 카드를 쓰는 비중이 지속 늘고 있는 영향이다.
반면 어음‧수표의 하루 평균 결제금액은 큰 폭 줄어들면서 1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현금이 아닌 지급수단을 통한 전체 결제금액은 2년만에 감소했다.
2일 한국은행의 ‘2019년 상반기중 지급결제동향’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신용‧체크‧선불‧현금IC 및 직불카드 등의 이용실적은 하루 평균 2조457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8% 증가했다.
지급카드 이용실적은 매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총이용실적은 445조원으로 집계됐다.
카드사의 법인 영업 축소로 법인 신용카드 일평균 이용(4180억원)이 전년동기대비 0.1%에 증가에 그쳤으나 개인 신용카드 이용(1조5130억원)이 7.4% 늘어 증가세를 주도했다.
신용카드의 일평균 이용액은 1조931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7% 늘었다.
체크카드 이용액(5210억원)도 6.2% 증가했다. 특히 현금 IC카드와 직불카드 이용액(2조2000억원)은 84.3% 뛰었다.
개인 신용카드 이용은 온라인 쇼핑 등에서 두드러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 쇼핑 이용실적은 전년동기대비 17.8% 증가했다.
이에 전자상거래‧통신판매 분야 개인카드 이용실적도 일평균 246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3% 늘었다.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정책 등의 영향으로 의료‧보건 분야에서의 개인카드 이용(1130억원)도 9.0% 증가했다.
편의점 카드 이용(230억원)도 11.7% 늘었으나 지난해 하반기(15.9%)보다는 증가세가 주춤해졌다.
편의점이나 대중교통 이용시 카드 결제가 보편화되면서 카드 이용의 소액화 현상도 점차 뚜렷해진 모습이었다.
어음‧수표 결제는 쪼그라들었다. 일평균 결제금액은 17조267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6.2% 감소했다.
이는 지난 지난 2005년 하반기(14조8000억원) 이후 13년6개월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수표외 지급 수단이 다양해진 가운데 5만원권 이용이 확대된 영향 등으로 풀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