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기업‚ R&D 지출액 日기업 비해 떨어

반도체 제외 시 평균 지출 97% 가까이 감소

2019-08-25     박경순 기자
▲ 반도체 패브리케이티드 웨이퍼.

한국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부품‧소재 기업의 연구개발(R&D) 지출액이 일본기업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한국과 일본의 부품‧소재 기업 1만117개(한국 2787개, 일본 7330개)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은 소재부문 5개 품목 중 3개, 부품부문 6개 품목 중 3개에서 한국기업보다 높았다. 

 

소재부문에서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은 한국기업에 비해 1.6배에 이르렀다.

 

세부 품목별로는 1차금속 제품이 5.3배, 섬유가 5.1배, 화합물 및 화학제품이 3.1배 순이었다.

 

부품부문에서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은 한국기업의 40%에 불과했다.

 

이는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부품에서 한국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이 일본기업에 비해 압도적으로 컸기 때문이다.

 

전자부품에서 한국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은 일본기업의 8.2배에 달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R&D 지출액은 한국 전자부품 업종 전체 지출액의 96.7%를 차지한다.

 

다른 품목을 보면 정밀기기부품은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이 한국기업에 비해 7.0배, 수송기계부품은 2.3배, 전기장비부품은 2.0배 컸다.

 

반도체를 제외하면 부품 부문에서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이 한국기업보다 1.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부품에서 반도체를 제외할 경우 한국 전자부품 기업의 평균 R&D 지출이 97% 가까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반도체를 포함할 경우 일본 전자부품 기업의 R&D 지출이 한국기업에 비해 낮았으나, 반도체 제외 시 일본의 R&D 지출이 3.7배 높은 상태로 반전했다.

 

한경연은 전자 부품 품목에서 반도체 착시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이슈가 됐던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기업들만 분석한 결과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기업의 평균 R&D지출액은 한국기업에 비해 무려 40.9배 높았다.

 

평균 R&D 지출뿐만 아니라 평균 매출(17.9배), 평균 당기순이익(23.3배), 평균 자산(20.5배) 등 주요 재무 항목도 큰 차이를 보였다.

 

화합물 및 화학제품, 1차 금속제품, 정밀기기부품 등 핵심 부품‧소재 부문에서 한국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이 일본기업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한국의 부품‧소재 산업은 반도체 쏠림이 심한 반면 화학이나 정밀부품 등 다른 핵심 소재‧부품에서는 갈 길이 멀다”며 “우리에게 부족한 핵심 부품‧소재 R&D에 대한 꾸준한 지원과 화평법, 화관법 등 화학물질 관련 규제 및 노동 관련 규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