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日 톤다운한 與 “노재팬→노아베”
“노 재팬보다 노 아베가 적절”
더불어민주당이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 대응 전략을 ‘노(NO) 재팬’에서 ‘노 아베’로 바꾸며 톤다운에 들어간 모습이다.
지나친 대일(對日) 강경론은 자칫 여론의 역풍을 불러올 수 있다는 이유로 반일(反日) 공세에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는 당내 자성론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민주당 원내지도부는 대일 공세보다는 일본의 보복조치가 가져온 우리 경제에 대한 지나친 불안감을 차단하는데 주력했다.
임종성 원내부대표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일본 역사상 가장 무능한 장군으로 손꼽히는 무타구치 렌야(牟田口 廉也)에 비유하며 ‘노 아베’를 선언했다.
임 원내부대표는 “아베 총리도 주변에서 모두 말리는데 독단과 독선으로 자국 기업과 경제 주체들을 사지로 몰고 있다. 자국민의 삶을 담보로 걸은 것”이라며 “아베 총리가 후대에 실책보다 업적이 기억되기를 원한다면 이 사실을 꼭 기억하길 바란다. ‘노 일본’이 아닌 ‘노 아베’다”라고 했다.
‘노 아베’는 일본 국민과 아베 정권을 구분해서 봐야 한다는 시민사회의 판단에 따라 ‘노 재팬’을 대체하며 등장한 구호다.
민주당 소속인 서양호 서울 중구청장이 명동과 청계천 일대에 ‘노 재팬’ 배너기를 무리하게 설치하려 했던 것이 ‘노 아베’ 구호 확산을 앞당겼다.
이는 그동안 일본 여행금지구역 확대, 도쿄올림픽 보이콧 등의 강경 주장이 나오던 민주당의 기류도 변화시켰다.
당이 반일 감정을 부추기는 것처럼 비쳐지면 여론의 뭇매를 맞을 수 있고 자칫 일본 내 반한 감정만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전날 민주당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중구청의 배너기 설치와 도쿄 올림픽 보이콧 주장에 대한 보고가 이뤄졌고 반일 공세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공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