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교수 100여명 “중소기업 원천기술 개발 돕자”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 설치
카이스트(KAIST)가 국내 기업들의 핵심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나섰다.
이는 일본이 지난 2일 우리나라를 수출심사 우대대상 국가인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2차 경제보복을 단행한 직후 내린 결정이다.
KAIST는 주요 보직교수들이 참석한 비상 간부회의에서 반도체·에너지·자동차 등 주요산업 분야의 핵심소재·부품·장비업체들의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KAMP)’을 설치키로 했다.
기술자문단은 5일 본격적인 가동에 돌입했다.
KAIST는 기술자문단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후속 조치로 재정적·제도적 정비를 추진하고, 향후 지원범위와 대상 등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기술자문단은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권에 들어설 것으로 유력한 1194개 품목 중 159개 소재·부품 등 관리품목과 연관된 중견·중소기업의 애로기술 개발지원과 자문을 위해 자문단장 1명과 기술분과장 5명, 명예교수와 현직교수 등 100여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됐다.
자문단장은 전사적 차원의 지원 및 대응을 위해 최성율 공과대학 부학장이 맡았다.
기술분과는▲첨단소재분과 ▲화학·생물분과 ▲화공·장비분과 ▲전자·컴퓨터분과 ▲기계·항공분과로 이뤄진다.
각 분과 팀장직은 이혁모 신소재공학과장, 이영민 화학과장, 이재우 생명화학공학과장, 문재균 전기 및 전자공학부장, 이두용 기계공학과장이 수행한다.
5개 기술분과마다 해당 분야 명예교수와 현직교수 등 20여 명씩 참여해 모두 100여명으로 자문위원이 꾸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