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들 “국산화해도 판로 문제”
日 규제 대응 국산화지만 대기업 구매 안 해
일본이 지난 2일 최대 1190여개 품목에 대한 수출우대국가에서 한국을 제외시키는 초강경책을 내린 가운데, 관련 부품을 취급하는 벤처기업들이 국산화에 성공하더라도 납품할 곳이 없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호소했다.
물건이 있어도 팔 곳이 없다는 게 이들의 애로였다.
벤처기업협회는 지난달 17~25 일 관련 중소기업 335개사를 대상 으로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이들이 ‘판로’를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다고 4일 밝혔다.
정부가 소재‧부품의 ‘국산화’ 대책으로 내놨지만, 국산화에 성공한다고 해도 판로가 생기지 않는다면 소용이 없다는 이야기다.
심층 인터뷰에 임한 기업들은 대다수가 대기업과 협력관계에 있는 업체들이 다수였다. 이들은 일본으로부터 수입했던 부품‧소재의 국산화가 이뤄진다 해도 팔길이 없다면 기업은 결국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데 입을 모았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로봇 부품을 생산하고 있는 A사는 국내 중소기업이 충분한 기술력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에서 품질관리와 양산시스템을 빌미로 납품을 허가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회사는 과거 대기업으로부터 미국에 법인을 설립해 국내로 다시 우회 납품하는 방식을 권유받은 적이 있다고 털어놨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로봇부품을 생산하는 B사는 국내기업이 생산한 국산화 제품과 기술에 대해 정부가 강제성을 두고 납품 쿼터를 지정토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시했다. 국산화 기술과 제품이 사장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 차원에서다.
B사에 따르면 일부 대기업에서는 일본 부품을 쓰도록 지정하고 있어 납품을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일본 제품을 수입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들은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국내 기술‧제품에 대한 인식 전환과 브랜딩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