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DJ도 의견수렴·설득했는데 李·朴은…"
민주통합당 원내대표 후보로 출마한 이낙연 의원이 1일 이해찬 상임고문과 박지원 최고위원이 당대표·원내대표 역할을 분담하기로 합의한 것을 '담합'으로 규정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BBS라디오 '고성국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옛날 김대중 총재 같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던 지도자도 중요한 결정을 할 때는 폭넓게 의견을 수렴하고 설명도 해서 사전에 공감대를 만들었다. 심지어 비서들까지도 설득했다"며 "그런데 이번 경우 두 사람은 그런 방식을 취하지 않았다. 두 사람 외에 나머지 분들은 전부 사후에 안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두 분 나름의 충정은 있을 수 있겠지만 눈앞에 닥친 원내대표 선거, 당 대표 선거, 그리고 대통령 후보 경선까지 3가지를 모두 비공개에 전광석화처럼 기획했다는 것을 좋게 볼 수는 없다"며 "담합이라고 보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당신들 두 분이 합의하면 당은 따라올 것이라는 (패권주의적)발상이 뒤에 깔려 있는 것 같다"며 "각 그룹을 당신들이 대표한다고 스스로 자임했기 때문에 그런 발상을 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고문과 박 최고위원 간 합의에 개입한 것으로 전해진 문재인 상임고문이 당 안팎의 비판을 받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아쉽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의원은 "대통령 후보를 포함한 지도자들은 예술에 가까울 만큼 최상으로 다듬어진 상태에서 대중 앞에 등장해야 옳은데 이번에는 좀 어설프게 등장했다. 그리고 문 고문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애매한데도 미리 상의가 된 것처럼 박지원 최고위원이 발표를 했다"며 "충분히 다듬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발을 들여놨다는 것도 잘못이지만 또 (개입 사실을)자랑스레 공개했다는 게 더 큰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원내대표 당선 후 계획에 관해서는 "이번 원내대표가 해야 될 일은 전당대회 준비와 관리, 그 이후 대선 후보 선출과 대선 관리 등"이라며 "현재 우리 민주당 소속 예비후보들의 지지도가 그렇게 달갑지 않은 상태기 때문에 선의의 경쟁을 통해 역동적인 에너지를 만들어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