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우리 입장 분명히 설명, 日 최소한의 선 지켜야”
“아베, 매일매일 말 바뀌어”
청와대가 강제 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문제와 관련한 ‘건설적인 답’을 요구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 대해 “우리 입장을 분명히 설명했다”고 반박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22일 춘추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아베 총리의 발언은) 한국 정부가 제대로 된 답변을 안했다는 이야기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고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일본이 제기한) 대북 밀반출 문제에 대해 제재위(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검토를 받자고 했고,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을 근거로 분명히 (입장을) 설명했다”며 “한일 관계가 과거와 미래의 투트랙으로 나눠서 가야한다는 우리 입장도 누차 말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외교적 노력을 해왔고, 지금도 진행하고 있고, 앞으로도 물론 해 나갈 것”이라며 “그런데 지금 수출 규제와 관련해서 (일본이) 안보 문제라고 했다가 역사 문제라고 했다가 다시 안보문제라 했다가 오늘은 또 역사 이슈를 언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은 한일 양국 간 미래 협력을 위해서라도 최소한의 선을 지키며 최선의 노력을 하는 것이 한일 국민들을 위해 해야 할 일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앞서 아베 총리는 이날 참의원 선거 후 아사히TV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전후 체제를 만들어 가는 가운데 한일관계 구축의 기초가 된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반하는 대응을 하고 있는 것은 정말로 유감”이라며 “한국 측이 제대로 답을 가져오지 않으면 건설적인 논의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또 “강제 징용 문제는 한일 청구권 협정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