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착역 앞둔 삼바 수사’ 검찰, 경영승계 입증에 사활
회계법인 측 ‘삼성 요구로 합병비율 산정’ 진술
14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앞선 수사 과정에서 확보한 삼정·안진·삼일·한영 등 회계법인 4곳의 인적·물적 증거를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관련자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바이오로직스와 자회사 바이오에피스 등을 압수수색하면서 회계법인 4곳 또한 대상에 포함했다.
이후 이뤄진 회계법인 측 관계자 조사에서 검찰은 ‘삼성 측이 요구한 합병 비율로 보고서를 만들었다’는 진술을 확보, 보고서가 조작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파악됐다.
회계법인 측 관계자는 검찰 조사에서 당시 1대 0.35합병 비율을 정하는 데 있어 삼성 측의 요구와 조율이 있었다는 취지의 진술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제일모직의 가치는 높이고, 삼성물산의 가치는 의도적으로 낮추도록 요구했다는 취지다.제일모직의 가치는 높이고, 삼성물산의 가치는 의도적으로 낮추도록 요구했다는 취지다.
회계법인으로선 업계 최대 규모의 금전적 계약을 맺을 수 있는 삼성 측과 원활한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게 대체적 시각이다. 회계법인의 특성상 고객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검찰은 삼성 측이 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를 통해 기업 가치를 높여 근거를 만든 뒤 회계법인의 조작 보고 등을 통해 합병 비율을 의도한 대로 산정한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결국 분식회계 의혹은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과정의 하나의 요소 중 하나라는 판단에서다.
이에 검찰은 최근 정현호 삼성전자 사업지원 TF(태스크포스) 사장, 김태한 바이오로직스 대표 등을 불러 본격적으로 해당 의혹을 추궁하고 있다.
검찰은 그간 확보한 증거와 개별 입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병확보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이후 검찰의 ‘칼끝’은 곧바로 범행의 최고 지시자이자 책임자를 규명하는 방향으로 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