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경상수지 흑자 폭 41.3% 급감
수출 곤두박질쳐 상품수지 반토막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9년 5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는 49억5000만달러 흑자를 냈다.
지난 4월 7년만에 처음으로 적자(-6억6000만달러)를 냈다가 한 달만에 다시 흑자로 돌아선 것이다. 기업들의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배당급 지급 등 계절적 요인이 사라진 영향이다.
그러나 흑자 폭은 지난해 5월(84억3000만달러)과 비교해 34억8000만달러(41.3%) 급감했다. 수출이 곤두박질치면서 상품수지가 반토막났기 때문이다.
5월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해 5월(107억9000만달러)보다 54억달러(46.3%) 줄어든 53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부터 7개월째 흑자 폭이 줄어든 것으로 지난 2014년 1월(36억7000만달러) 이후 5년 4개월만에 가장 적었다.
수출도 480억3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0.8% 감소했다.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 연속 감소한 가운데 전월(-6.2%)보다 감소 폭도 더 커졌다. 세계 교역량이 부진한 가운데 반도체 단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입은 국제유가 약세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1.0% 감소한 426억4000만달러를 나타냈다.
서비스수지는 9억달러 적자로 개선세를 이어갔다. 지난 2016년12월(-6억6000만달러) 이후 2년 5개월만에 최소 적자를 기록한 것이다.
여행수지 적자도 9억4000만달러로 전년동월(-13억6000만달러)과 비교해 적자 규모가 축소된 모습을 보였다.
1인당 여행소비가 둔화하며 여행지급이 지난해 5월 26억1000만달러에서 25억1000만달러로 줄어든데다 여행수입이 같은 기간 12억5000만달러에서 15억7000만달러로 증가하면서 여행수지가 좋아졌다.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지는 1억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4월(2억달러), 지난 2014년 10월(1억7000만달러)에 이어 역대 3위 수준의 흑자 규모다.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입이 역대 2위 수준인 10억6000만달러를 기록한 영향이다.
기업들의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배당급 지급 등으로 지난 4월 43억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던 본원소득수지는 11억60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