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 교육현장 친일잔재 청산 설명회 실시

조사 및 청산의 필요성 환기

2019-06-11     전영규 기자
▲ 친일 잔재 청산 설명회에 참석한 장휘국 광주광역시교육감.

광주광역시교육청이 11일 ‘교육현장 친일잔재 조사 및 청산 설명회’를 개최하며 교육 현장의 협조를 당부했다.

 

시교육청은 이날 관내 초·중·고·특수학교장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대강당에서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는 교육현장에 남아있는 일재잔재를 조사하고 청산하기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친일잔재 조사 발표 및 교육적 활용방안, 교가 교체 사례발표, 교육청 행정사항 안내 순으로 진행됐다.

 

시교육청은 지난해 ‘광주시의 광주친일잔재 조사’를 담당했던 광주교육대 산학협력단 김덕진 교수를 초청해 친일잔재 조사 및 청산의 필요성과 방향,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자세하게 안내했다.

 

또한 최근 교가 교체 작업을 완료한 광덕중학교 박종모 교감으로부터 교가 교체 과정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를 전해 듣는 시간을 마련했다.

 

설명회에 참석한 장휘국 광주교육감은 “과거 우리 선배들이 하지 못했던 일들, 친일의 잔재를 청산함으로써 다시는 악의 편에 서서, 아니 그보다 더 심하게 선을 탄압하고 자기 영달을 위해 살았던 사람들에 대한 정리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교장선생님들을 모셨다“며 ”친일 했던 무리들이 득세하고 출세하고, 선한 사람과 ‘정의의 편에 서서 많은 손해를 본 사람들’을 오히려 손가락질하고 억압하려 하고, 이게 우리 사회에 정의가 숨 쉴 수 없는 사회로 가는 안타까운 일이기 때문에, 늦었다고 생각되지만 친일 잔재 청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이날 각급 학교에 오는 7월12일까지 친일잔재 학교 상징물 현황 등 기초 자료 제출을 요청했으며 8월까지 구체적 자료조사를 마치겠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12월까지 친일잔재 학교 상징(교가, 교기, 교목 등)을 청산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기념비, 건축물, 동상 등을 다크투어리즘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연말에는 친일잔재 청산 성과보고회를 계최할 계획이며‚ 이후 친일 자료를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며, 각급 학교가 친일 잔재를 청산하는 과정에서 ‘친일잔재 자료’가 유실되지 않도록 유지‧관리에도 철저를 기해달라고 덧붙였다.